메뉴

춘절 연휴 기간 중국 소매 및 요식업 기업 판매액 동기 대비 4.1% 증가

 

중국이 내수 진작에 힘쓰면서 지난 춘제 기간 중국 전역의 소매 및 요식 기업 판매액이 전년동기 대비 4% 이상 늘었다.

중국 당국은 연초 ‘내수 중심 성장’을 2025년 올 한 해 경제 지표로 내세운 바 있다.

난팡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최근 정례 기자회견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의 춘제 기간 소비 현황 자료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상무부의 상업 빅데이터 모니터링에 따르면, 연휴 기간 동안 전국 주요 소매 및 외식 기업의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했다.

주요 소매업체의 가전 및 통신 기기 매출액이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했다. 또 주요 외식업체의 매출액이 전년 대비 6.2% 늘었다. 겨울 스포츠 관광과 문화 박물관 여행도 지속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춘제 연휴 기간 동안 국내 관광 총지출은 6,770억 위안(약 134조 4,454억  원)으로 전년 대비 7.0% 증가했다.

중국 여행객 수는 5억 명으로 5.9% 증가했다.

허융첸 상무부 대변인은 “올해 춘제 연휴 동안 전국 소비 시장은 명절 분위기가 짙고, 방문객이 많으며, 판매가 활발했다”고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은 각 지방정부의 소비 촉진 행사가 한 몫을 했다고 분석했다. 각 지역 상무부서는 지역 특색을 살려 신춘 장터, 온라인 명절 특산물 축제, 전통 브랜드 카니발 등 다채로운 소비 촉진 행사를 개최하여 짙은 명절 분위기를 조성하고 소비 활성화를 이끌었다.

예컨대 헤이룽장성은 아시안 동계경기대회 개최를 기회로 삼아 ‘환희의 아시안 동계대회, 흥겨운 헤이룽장 쇼핑’ 시리즈 행사를 추진했다. 쓰촨성은 ‘천부의 명절 분위기, 다채로운 기상’이라는 주제로 100개 상권이 연계된 신춘 소비의 달 행사를 열었다.

중국 당국은 올 한 해 내수 시장을 최대한 확대해 미국의 관세 전쟁 등 외부 불확실성에 대비한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중국은 다양한 사회 인프라 개선 작업과 재정정책을 통해 시중 자금공급을 대거 늘릴 계획이다.

한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의 대중 추가관세를 부과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발 보호무역주의 확산은 중국은 물론, 수출 위주의 경제 성장구조를 가진 한국에게는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