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아시아 여류작가 처음으로 한국작가 한강의 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에 중 네티즌,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한국 작가 한강이 아시아 여성 최초로 올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자 중국 네티즌들 역시 “축하한다.”, “읽어봐야겠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환영하고 나섰다.

스웨덴 한림원은 2024년 노벨 문학상을 한국 작가 한강에게 수여했다. 그녀는 2000년 김대중 전대통령이 노벨 평화상을 받은 이후, 두 번째로 노벨상을 받은 한국인이 되었다.

스웨덴 한림원은 한강의 작품이 “신체와 영혼, 생과 죽음의 연결에 대한 독특한 인식을 담고 있다”고 칭찬했다. 또한 그녀의 “시적이고 실험적인 스타일”을 통해 한강이 “현대 산문의 혁신자가 되었다”고 평가했다.한강이 노벨 문학상을 받은 후,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페이스북에 “2024년 노벨 문학상을 받은 한강 작가님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고 썼다. “한림원의 수상 이유에서처럼, ‘역사의 상처를 직시하며 인간 생명의 연약함을 드러낸 강렬한 시적 산문’으로, 한 작가님은 우리 현대사의 고통스러운 상처를 위대한 문학 작품으로 승화시켰다.” 한국 야당 지도자 이재명 또한 페이스북에 “한강 작가는 문학을 통해 (한국) 현대사의 곡절을 치유해 왔다. 한 작가님은 폭력과 증오를 마주할 때도 인간의 존엄을 끊임없이 추구했다”며, “나는 그녀의 말, ‘우리 내면에는 어떤 것도 결코 지울 수 없는 무언가가 있다고 믿는다’를 마음에 새긴다”고 썼다.1970년, 한강은 한국 광주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와 두 명의 오빠 모두 작가였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한 후 한강은 시와 소설 창작에 투신했다. 1999년, 그녀는 단편소설 <붉은 닻>으로 한국소설문학상을 수상했다. 이후 <채식주의자>(2007), <소년이 온다>(2014), <흰>(2016) 등을 포함한 여러 작품을 출간했으며, 2021년에는 신작 <작별하지 않는다>를 발표했다. 박근혜 정부 시절, 한강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올랐던 경험도 있다.현재 한강은 한국예술종합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대 한국 문단에서 가장 국제적인 영향력을 가진 작가 중 한 명이다. 그녀는 서울신문 신춘문예, 한국소설문학상, 동리문학상, 이상문학상 등 수많은 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2016년 5월 16일, 한강은 소설 <채식주의자>로 맨부커 국제상 수상자가 되었고, 이는 아시아 작가로서는 최초였다. 2017년, 그녀는 이탈리아의 노벨 문학상이라 불리는 말라파티아 문학상을 수상했다. 2018년에는 <흰>으로 다시 맨부커 국제상 최종 후보에 올랐으며, 같은 해 <소년이 온다>로 국제 더블린 문학상 최종 후보에도 올랐다.2019년, 미국의 권위 있는 잡지 <와이어드>는 <채식주의자>를 지난 10년간 최고의 장르 소설 10권 중 하나로 선정했다.

중국 네티즌들은 이 같은 소식에 “노벨 문학상은 최고의 상”이라며 “뛰어난 여류 작가의 수상을 축하한다”고 반겼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