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계에서 생활비가 가장 많이 들어가는 도시 Top 10, 1위 싱가포르, 취리히

 

물가와 소득은 동전의 양면이다. 소득이 늘어나도 물가가 지나치게 오르면 실질 소득은 감소한다. 물가에 맞춰 소득이 올라줘야 진정 소득이 늘어난 것이다. 이에 국가 경제에서 물가 관리는 경제 성장을 위해 소득을 늘리는 것보다 중요하다. 대략 2%의 물가 상승을 가장 안정적인 모양새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소득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물가 역시 빠르게 치솟은 도시들이 있다. 이런 도시의 생활은 저소득층에게는 견디기 힘들 정도다.

그럼 글로벌 주요 도시들 가운데 어느 도시의 물가가 가장 높을까?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글로벌 경제 분석 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전 세계 주요 도시 173곳의 생활비를 비교한 물가보고서 ‘월드와이드 생활비 2023(Worldwide Cost of Living Survey 2023)’을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주요 도시들의 생활비는 공급망 차질 완화에도 불구하고 평균 7.4% 상승했다. 생활비가 많이 들어가는 Top 10 도시는 다음과 같다.

 

 

1위(공동) 싱가포르, 취리히 

3위(공동) 제네바, 뉴욕 

5위 홍콩 

6위 로스앤젤레스

7위 파리

8위(공동) 텔아비브, 코펜하겐

10위 샌프란시스코

 

 

싱가포르는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싱가포르는 지난 11년 동안 9차례나 1위에 올라 세계에서 생활비 부담이 가장 높은 도시로 평가됐다. 지난해에는 특히 차량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자격인증서(COE, Certificate of Entitlement) 발급비가 크게 올랐고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식품과 의류 가격도 대폭 상승했다. 

엔저현상의 영향으로 일본 도시들의 생활비 순위는 크게 하락했다. 도쿄는 2022년 조사 당시 37위였으나 60위권으로 내려갔다. 코로나19 팬데믹의 타격을 받은 상하이, 베이징 등 중국 주요 도시의 생활비도 전년 대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