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중국 신에너지차 생산량 Top 4 도시, 1위 상하이

 

 

지난해 중국에서 신에너차(전기차, 하이브리드, 수소차) 생산량이 가장 많은 Top 4 도시는 상하이, 선전, 시안, 충칭으로 집계됐다.

중국은 세계 최대 전기차 생산국이면서 최대 소비국이다. 

27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2023년 상하이의 신에너지차 생산량은 128만 6800대로 중국내 1위를 기록했다. 상하이는 지난해 8월부터 월간 신에너지차 생산량이 10만 대 이상을 유지했다.

지난해 상하이의 신에너지차 생산량 증가는 테슬라가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의 상하이 기가팩토리(Gigafactory)는 지난해 60만 대 이상의 차량을 생산했다.

선전은 아직 구체적인 수치를 발표하지 않았지만 상하이에 육박하는 신에너지차가 생산된 것으로 추산됐다. 2022년에도 선전은 신에너지차 생산량이 84만 8800대로 상하이(98만 8600대)에 이어 2위에 올랐다. 

3위 시안의 신에너지차 생산량은 2022년(101만 5500대) 대비 소폭 감소한 99만 5000대를 기록했다.

시안은 중국 신에너지차 1위 비야디(BYD)가 지난해 베스트셀러 모델 생산 라인의 일부를 창저우, 푸저우, 허페이의 새 공장으로 옮기면서 지역내 신에너지차 생산 능력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4위 충칭은 지난해 신에너지차 생산량이 50만 300대를 기록했다.

충칭은 창안자동차(长安汽车) 등 10개 이상의 자동차 메이커의 본사가 위치해 오랜동안 중국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로 꼽혔다. 2015년 내연기관차 생산량이 300만 대를 넘어 중국내 1위를 차지했지만 신에너지차가 새로운 주력 차종으로 떠오르면서 점유율이 매년 감소 추세를 보여왔다. 

중국은 이미 개인 이동 수단이 기존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그 중심축을 옮긴 지 오래다. 또한 내수 수요를 기반으로 제조 능력을 키워, 글로벌 시장 공략도 본격화하고 있다. 

비야디는 이미 유럽, 멕시코 등에 진출해 생산 공장을 구축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도 가성비를 내세운 전기차로 시장 점유율을 조금씩 늘리고 있는 상황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