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해 1~3분기 중국 토지 매매 수익, 5개 성시(省市)에서만 플러스 성장

 

중국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지속되면서 올해 3분기 동안 토지 매매 수익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은 현재 중국 경기 침체 우려의 근원으로 꼽힌다.

중국 경제는 개혁개방 이후 무역을 통한 외화 유입과 이 유입된 자금을 바탕으로 한 내부 인프라 건설 과정에서 급속히 팽창했다. 자연스럽게 부동산 부문에 적지 않은 버블이 생겼고, 이제 그 버블이 터질 조짐을 보인다는 게 우려의 실체다. 헝다(에버그란데) 등 중국의 대표적인 부동산 개발업체 몇몇은 이미 도산 위기에 처한 상태다. 

10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1~9월 중국 전국의 토지 양도 수수료는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했다. 지난해보다 성장한 지역은 텐진, 닝샤, 장쑤, 베이징, 저장성 등 5개 성시에 불과했다.

주요 도시의 실적을 보면 3분기 동안 베이징, 상하이, 항저우 3개 도시만이 토지 거래액이 각각 1000억 위안을 넘었다. 광저우와 청두의 토지 거래액은 각각 946억 위안, 919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제일재경에 따르면 중국 부동산 업계에서는 부동산 산업이 순환조정기에 들어서 토지 매매수입 감소가 대세라고 보고 있다.

이는 중국 부동산 100대 기업의 투자 행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중국 지수 연구소의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동안 100대 부동산 기업의 총 토지 취득액은 859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9% 감소했다.

한편 민간 부동산 기업들이 신규 투자에 소극적이었던 것에 반해 중국 국유 기업들의 토지 취득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이, 저장, 산시(陝西), 산시(山西)를 제외한 모든 성에서 국유 기업이 토지를 취득한 비율이 90%를 넘었다.

민간 부문 부동산 기업의 부실을 공기업들이 나서 채우고 있는 양상이다. 다만 실제 부동산 버블이 일어나면 그 피해가 민간부문에서 빠르게 공기업을 통해 정부 부문으로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중국 당국은 운하 등 대형 인프라 개발을 통해 부동산 안정을 추구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안정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