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6월 제조업 PMI 49.0, 석 달 연속 50 이하로 경기수축 지속

 

중국의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전월 ​​대비 0.2%포인트 상승한 49.0을 기록했다. 이 지수는 50을 중심으로 경기 상승과 경기 하락에 대한 관리자들의 판단이 나뉜다. 

제조업 구매관리자들의 경기에 대한 전망이 좋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경기 하락의 상태를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다. 

30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6월 제조업 PMI는 5월의 48.8보다는 소폭 상승했으나, 경기 확장을 의미하는 '50 이상'에는 이르지 못했다. 3개월 연속 50을 하회하며 경기 수축 국면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6월 대기업 PMI는 50.3으로 전월 대비 0.3포인트, 중간규모 기업은 48.9로 지난달 대비 1.3포인트 각각 상승했고, 소규모 기업은 46.4로 5월 대비 1.5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 PMI를 구성하는 5개 지표 중 생산지수와 공급업체 납기지수는 50보다 높은 반면 신규수주지수, 원자재재고지수, 고용지수는 50보다 낮았다.  

생산지수는 50.3로 전월보다 0.7%포인트 상승해 기준치를 넘어섰고, 공급업체 납기지수는 50.4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지만 여전히 기준치를 웃돌았다.

신규수주지수는 전월 대비 0.3%포인트 오른 48.6, 원자재재고지수는 전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한 47.4%, 고용지수는 전월보다 0.2%포인트 하락한 48.2%를 각각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55.7%로 전월보다 2.5%포인트, 서비스업이 52.8%로 전월보다 1.0%포인트 하락했다.

PMI는 기업의 구매 담당자 대상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돼 관련 분야의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로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낮으면 경기 수축 국면을 각각 의미한다.

지난해 12월 중국의 제조업 PMI는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인 2020년 2월(35.7) 이후 최저 수준인 47.0을 기록했으나, '위드 코로나' 정책 채택 이후 올해 1월 50.1로 회복했고 2월에는 2012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52.6을 기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