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재 위해 중국 리후이 특사 파견

 

 

중국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재 외교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하지만 전세가 러시아에 불리한 상황에서 뒤늦게 평화를 외치고 나서면서 러시아를 위한 중재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실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달 26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처음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평화협상에 응하라고 말하기도 했다. 러시아에게 점령당한 국토를 조금씩 되찾고 있는 우크라이나 입장에선 "맞고 참으라"는 압박일 수밖에 없다. 

1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의 특사격인 리후이(李輝) 유라시아사무특별대표가 우크라이나를 시작으로 5개국 순방에 돌입했다.

외교부 부부장(차관)과 주러 대사를 역임한 리 특별대표는 16∼1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방문하고, 이어서 폴란드, 프랑스, 독일을 거쳐 마지막으로 러시아를 방문할 예정이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리 특별대표가 우크라이나의 요구와 견해를 들은 뒤 이를 토대로 폴란드, 프랑스, 독일 등 유럽국가들과 협의한 뒤 마지막으로 러시아에 중재안을 제시하고 답을 구할 것으로 보인다고 16일 보도했다.

글로벌타임스에 다르면 중국은 유엔 헌장의 취지와 원칙 준수, 모든 국가의 합리적 안보 우려 존중, 우크라이나 위기의 평화적 해결을 지향하는 모든 노력 지지, 글로벌 공급망 안정 보장 등 시 주석이 제기한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한 '4개의 당위'를 기초로 중재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으로선 우크라이나 전쟁의 휴전을 촉진하는 중재 외교 노력을 보여줌으로써 대유럽 관계 개선에 활용하는 측면도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또 다른 시각에서는 중국이 이미 러시아측의 입장을 충분히 듣고, 러시아의 체면을 차리는 선에서 전쟁을 마무리하기 위한 외교전을 펼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