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제대로 안다는 것에 대하여, 너를 알 지(智)



 

안다는 게 무엇인가?

 

하나의 사물을 아는 방법은

본래

두 가지다.

하나는 밖에서 그 경계를 아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안에서 그 경계를 아는 것이다.

경계의 선은

분명 하나지만,

둘의 인식 방식은

극과 극이다.

 

안다는 건 그런 것이다.

안에서

밖에서

모두 아는 게

진정

아는 것이다.

 

안다는 뜻의 한자도

두 가지다.

하나가 지(知)요,

다른 하나가

지(智)다.

 

네이버 사전에 따르면

지(知)는

‘알다’, ‘깨닫다’, ‘들어서 알다’ 등의 뜻이다.

 

반면

지(智)는

‘슬기롭다’, ‘사물의 도리를 알다’, ‘꾀’, ‘모략’ 등의 뜻이다.

 

마치

지(知)는 형이하학적이며

지(智)는 형이상학적으로

들린다.

 

또 그렇게만 보기에,

묘하게 지(智)에는

모략, 꾀라는 부정적인 의미도 담겨있다.

 

한자에서

지(智)가 지(知)보다 오래된 글자다.

 

지(智)는 갑골자가 있지만, 지(知)는 없다.

지(知)

후대인 청동기 금문에서 등장한다.

 

묘하게 복잡한 글자가

단순한 자보다

더 먼저 등장한 것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지(智)와 지(知)가 한 글자라 본다.

 

금문에 등장하는 지(知)는

화살 시(矢)과 말하는 입 구(口)의

조합이다.

 

갑골자 지(智)의 자형은

좀 복잡하다.

일부 글자는 화살이 아니라

꺽쇠 기호 아래

큰 대(大)가 아이에게 말을 하는

형태도 있다.

어른이 아이에게 뭔가를 알려주는 모습이다.

 

 

일단 두 글자 모두

화살, 사냥의 비법,

혹은 뭔가 중요한 것을

후계자에게

전하는 것이다.

 

화살은 한자가 만들어져

활용되던 당시

사냥의, 공격의 최고의 무기였다.

그 화살에 대해

사냥의, 공격의 이야기를 하는 게,

삶과 부귀, 권력에

대해 이야기하는 게

 

바로

안다는 뜻이 지(智) 혹은 지(知)였던 것이다.

 

금문 초기만 해도

지(知)와 지(智)는

같이 쓰였다.

 

많은 학자들은 한동안

지(知)가 지(智)는 혼용돼 쓰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고전에서

글쓰기는 좀 복잡한 모습이다.

지(知)와 지(智)는

같기고 하고 다르기도 하다.

 

같고도 다른 것은

결국 다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지(智)와 지(知)는 분명 다르다.

 

초기 같이 쓰였는지

몰라도

이후 빠르게 서로 구분돼

쓰이기도 했던 듯 싶다.

 

애매하지만

비슷한 시기 다르게도 같게도 쓰여

지금도

같은 뜻인지, 다른 뜻인지

혼란스러운 게

지(知)와 지(智)다.

 

지(知)와 지(智)가

같은 뜻이고

같은 뜻으로 읽어서

문제가 없다면

문제가 없다.

 

하지만 지(知)와 지(智)가

차이가 있고

같은 뜻으로 읽어서

문제가 있다면

문제다. 둘의 차이를 분명히 알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지(智)는 화살을 아이에게 말해주는 모습이다.

화살 시(矢)와

입 구(口)와

아들 자(子)가 동시에 등장한다.

 

일부의 경우

입 구(口)보다는

책(冊)로 기호를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지(智)는 아이에게 화살에 대해

책에 나온 사실을

전해주는 게 된다.

 

종합적으로 볼 때,

지(知)는 그 의미가

보다 은밀해 보이며

지(智)는 그 의미가

보다 드러나 보인다.

 

지(智)는 보다 객관적 앎의

의미가 있어 보이고

지(知)는 보다 주관적 앎의

의미가 있어 보인다.

 

노자 도덕경에 힌트가 있다.

노자는 도덕경에서

지(知)와 지(智)를 달리 썼다.

 

“知人者智,自知者明。”

(지인자지, 자지자명)

“남을 아는 것을 지(智:지혜롭다)라 하며, 스스로 아는 자를 명(明:현명하다)이라 한다.”

 

이 문장에서

지(知)와 지(智)가

같다면

문장의 뜻이 우습게 된다.

 

이 문장에 따르면,

지(智)는 그냥 지(知)가 아니다.

다른 것을 아는 게 아니라

사람 인(人)을 아는 걸

지(智)라 했다.

 

반면 지(知)는 사람도 지(知) 할 수 있으며,

자기 자(自)도 지(知) 할 수 있는 것이다.

 

지인(知人)과 자지(自知)

의 단어에서

우린 지(智)와 지(知)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지(智)란 인(人)을 지(知)하지만,

자기 자(自)는 지(知)하지 못하는 것이다.

지(知)는 지(智)와 이 점에서

차이가 있다.

 

지(知)는 지인(知人)과 자지(自知)가 있으며,

전자를 지(智)라 하고

후자를 명(明)이라 하는 것이다.

 

자지(自知)는 스스로 아는 것,

자아를 향한 앎이다. 바로 밝게 되는 길이다.

 

반면, 지인(知人)은 그 앎이 남을,

타자를 향하는 것이며

바로 지(智)인 것이다.

 

내 주변을 알아

나를 아는 게 지혜의 지요,

내 속의 나를 알아

나와 그 경계를 아는 게

스스로 아는 것, ‘밝음’인 것이다.

 

나를 알고

적을 알면

백전, 백가지 위험에도

위태롭지 않은 것이다.

 

적만 알면

때론 한없이

교만하고

적만 알면

때론 한없이

스스로가 작아만 진다.

 

스스로 아는 게 밝은 것은

내가 나를 알고

다시 남을 아는 것에 다름 아니다.

 

‘지인’(知人)할 것인가,

‘자지’(自知)할 것인가

무엇이 더 나은 앎인지

우리는 말하지 않아도 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