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성들이 갈수록 세련되지고 있다. 사실 역사적으로 중국 남성들은 여성보다 더 꾸미기로 유명하다. 화려한 복장에 각종 장신구로 꾸미기를 즐겼다. 지금도 중국 분묘에서 남성들의 장신구들이 발견되고 있다. 중국의 경제가 발전하면서 중국 남성들의 '꾸미기' 본능이 되살아나는 것이다. 갈수록 고급화되고 개성화하고 있다. 멋쟁이 중국 남성들은 좋아하는 브랜드 옷을 입고, 좋아하는 브랜드 스킨 로션을 쓰며 자신의 색깔과 향기를 만들어 간다. 중국 남성복 브랜드를 알아봤다. 1. 하이란홈 海澜之家 Heilan Home 2002년 설립된 Heilan Home은 Heilan Home그룹 산하 남성복 전문 브랜드이자 남성 스웨터 10대 브랜드 중 하나로 캐주얼, 비즈니스, 패션 등 3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주로 다양한 남성복과 액세서리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 전국에 수천 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2. 타이핑니아오 太平鸟 PEACEBIRD PEACEBIRD는 1996년 설립된 PEACEBIRD그룹유한공사 산하 브랜드이자 중국 10대 아동복 브랜드 중 하나다. 제품 라인업에 남성복, 여성복, 아동복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트렌디한 디자인으로 시장
최근 러시아의 부차 민간인 학살이 세계인의 공분을 사고 있다. 잔혹하기 이를 때 없는 범죄행위라는 게 모두의 공감이다. 자연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주도했던 푸틴 대통령에 대한 질책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세기의 폭군'으로 기록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실 역대 폭군이 많기로 유명한 게 중국이다. 중국의 역사는 한 나라에서 어떤 상황에서 폭군이 나오고 그 폭군이 나라를 어떻게 망치는지 잘 보여준다. 대체로 억눌렸던 민중이 정의로운, 새로운 군주를 받들어 신왕조를 세운다. 물론 이 같은 역사의 구도가 구왕조를 악으로 만들어야 했던 승리자, 신왕조의 시각으로 만들어졌다는 지적도 있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전해지는 폭군들의 형태는 대체로 비슷하다. 중국 역사가 기록한 역대 폭군들을 살펴봤다. 1. 夏桀 (걸왕) 걸왕은 하나라의 마지막 군주로 역사상 유명한 폭군이다. 그는 문장에 능하지만 나라를 위하지 않고, 황음무도하고, 민녀를 강탈하고, 많은 고문 방법과 도구를 고안하여 백성들을 고통과 도탄에 빠트렸다. 그리하여 결국 하나라가 그의 대에 멸망에 이르렀다. 2. 商纣王 (상주왕) 상나라의 마지막 군주였던 상주왕은 비록 천성이 총명하고 능력이 뛰어났지만,
10억 달러 이상 자산을 보유한 세계 여성 기업가의 62.90%가 중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야쥔(吴亚军)이 세계 최고 여성 부자로 뽑혔다. 최근 중국판 포브스로 불리는 후룬연구원(胡潤硏究院)은 자수성가해 1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세계 여성 기업가들 현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세계 여성 기업가 124명이 1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했다. 이는 2021년보다 6명이 줄어든 수치다. 이들의 총 자산가치는 2조3467억 위안에 달했다. 이들 여성 부호들은 재산을 물려받지 않았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여성 특유의 꼼꼼함 등으로 무장해 사업을 일궈낸 것이다. 여성의 사회적 활동 능력이 뛰어난 중국 여성들의 특성을 다시 한 번 보여준 것이다. 특히 상하이 등 중국 남부 지역의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더 뛰어난 사회적 능력을 보여주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하지만 이번 조사결과 중국 여성 부자들은 의외로 상하이가 아니라 베이징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았다. 10억 달러 자산가 124명 가운데 무려 78명이 중국에 거주했다. 나머지 여성 기업가들은 미국 등 13개국에 거주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억 달러 자산 보유 중국 여성 기업가 중 14명은 베이징에 거
'8600만 명' 중국의 팟캐스트 청취자 수다. 세계 2위 수준이다. 추산된 수여서 확실하다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최근 중국에서 팟캐스트 청취자 늘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중국 도시에서는 팟캐스트를 듣는 것이 점점 더 많은 젊은이들의 삶의 방식이 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이마케터(eMarketer)'의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중국의 팟캐스트 청취자는 약 8600만 명으로 집계됐다.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다. 다양한 플랫폼 데이터는 또한 중국에서 팟캐스트의 인기를 잘 보여준다. 팟캐스트 앱 ‘샤오위저우 小宇宙’는 1년 반 만에 가입자 수가 200만 명을 넘었고 팟캐스트 프로그램을 1만 건 이상 보유하고 있다. '뮤직 Music'은 1000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매월 플랫폼에서 팟캐스트를 듣는다고 밝혔다. 20년 전 중국 최초의 팟캐스트 프로그램이 만들어진 이후 팟캐스트는 오랫동안 중국에서 정체 상태였다. 하지만 지금은 뜨거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북경어 외에 광둥어, 쓰촨성, 충칭 및 기타 방언으로 된 팟캐스트 프로그램이 붐을 이루고 있어 콘텐츠를 보다 풍부하고 생생한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글로벌 팟캐스트 검색엔진 '
패션과 소비의 도시 상하이. 중국의 금융 및 경제 중심지인 상하이는 활기찬 생활과 눈부신 쇼핑 브랜드 및 쇼핑 센터로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갈수록 더 화려해지고 더 웅장해지는 것이 중국 쇼핑몰들의 특징이다. 쇼핑몰 자체가 거의 작은 도시 하나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쇼핑 천국, 별유천지(別有天地)를 꿈꾸는 쇼핑몰들이 속속 들어서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하이는 동방의 진주라 불리던 곳이다. 상하이 쇼핑몰들이 이 명성을 되찾으로 노력하고 있다. 동방의 명주 상하이에서 '쇼핑의 명주'가 되겠다고 서로 앞다퉈 경쟁하는 것이다. 최근 상하이에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잠시 봉쇄로 위기를 맞고 있다. 이 탓에 화려했던 쇼핑몰들의 불도 꺼졌다. 폐문 휴업 상태가 됐다. 하지만 상하이는 코로나19만 물러가면 아시아 최고의 쇼핑도시가 될 것이라고 모두 입을 모으고 있다. 그만큼 저력 있는 도시가 바로 상하이다. 그 많은 상하이 쇼핑몰 중에서도 가야 한다면 어디가 좋을까? 쇼핑의 도시 상하이를 대표하는 쇼핑몰들을 알아봤다. 1위는 역시 난징로의 항룽 광장이 차지했다. 1위: 항룽광장 恒隆广场 상하이 징안구 난징서로 북쪽에 건설된 국가 5성급 쇼핑센터 2위: 상하이궈진센
중국에서는 사람과 관련된 어떤 서비스도 기업형이 된다. 그만큼 시장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중국 생활수준이 높아진면서 그 시장 규모 역시 더욱 커졌다. 대표적인 산업이 미용 관련이다. 중국에서는 미용실 운영도 프랜차이즈 사업형으로 진행이 된다. 웬만큼 이름이 나면서 베이징 시에는 수백 곳의 브랜치가 생긴다. 최근 중국에서 유행하는 미용실 브랜드 순위를 살펴봤다. 1. 메이리톈위안(美丽田园) 113개 지점에 이르는 비교적 큰 규모이며 중국의 유명 미용체 spa 체인센터 중 하나다. 동양인 피부의 특성에 맞춰 유럽 뷰티 스킨케어 기술을 접목해 각종 피부 트러블에 대응하는 수십 개의 시리즈 수백 개의 제품을 개발·생산해 전국 미용실 순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 克丽缇娜 10대 뷰티 제품 브랜드 중 하나로 400여 개에 가까운 미용 가맹점이 생겼으며 미용관리품과 미용실 가맹을 위주로 연구개발, 생산, 판매를 아우르는 기업이다. 3. 琪雅 이미 100여 개 지점과 5000여 개 체인점을 거느릴 정도로 규모가 크다. 4. 莎蔓莉莎 비교적 젊은 미용 프랜차이즈 업체이자 중국 미용실 10대 브랜드 중 하나로, 현재 1000여 개의 미용실을 보유하고 있다. 5.
왕홍, 한국인도 한 번쯤을 들어봤을 중국 단어다. 말 그대로 인터넷에서 인기를 끄는 인물이라는 뜻이다. 한국어로는 인플루언서다. 중국에서는 일찌감치 왕홍이 인터넷 공간의 새로운 매개체로 자리잡았다. 뉴스분야 보다는 생활과 문화 방면에서 빠르게 성장했다. 관련 분야의 산업을 소개하는 이들로 자리 잡았다. 왕홍들이 뜨면서 그런 왕홍들을 기획해 길러내는 기획사들도 등장했다. 2022년 3월 현재 중국의 왕홍 기획사 순위를 살펴봤다. 1. 谦寻 (첸쉰) 2017년 설립된 항저우 겸심홀딩스 산하 중국 국내 최대 규모의 온라인 인플루언서 기획사인 谦寻은 50여명의 아나운서가 소속돼 있으며, 유명 인플루언서로는 薇娅viya, 张沫凡MOMO, 深夜徐老师와 같은 유명 블로거가 이 기관이다. 2. 美one 미원은 2015년 설립된 상하이 미완 네트워크 테크놀로지(mione)로, 새로운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e커머스 회사다. 李佳琦가 바로 이 회사 소속이다. 3. 青藤文化 (칭텅문화) 2011년 설립된 유명 종합 미디어 회사로, 팬덤에게 사랑받는 랩 문화를 만들어가는 MCN 기관으로, 회사는 수백 명의 인플루언서를 계약하고 육성하고 있다. 소속 연예인들도 '프로듀스 10
사치는 미덕이다. 특히 중국인들에게 그렇다. 고래로 중국 부자들은 부를 자랑하길 즐겼다. 고사 중에는 한 부자가 금으로 방을 도배를 하자 그 것을 본 또 다른 부자가 금보다 더 비싼 후추로 방을 도배했다는 게 있다. '내가 잘 났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 뭐든 한다는 각오가 보인다. 현대 중국인이라고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다 보니 중국의 집안 가구들이 갈수록 고급화하고 있다. 일부는 한국인들에게 좀 과하다 싶을 정도다. '뭘 그렇게까지 꾸미나' 싶은 것도 적지 않다. 2022년 3월 현재 중국의 가구 업체 브랜드 순위를 살펴봤다. 1. 水星家纺 (MERCURY) MERCURY는 1987년 설립돼 2017년 상장된 업체로 현재 전국 각 성시에 수천 개의 마케팅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산하에 아동용품, 담요, 이불, 베개, 키트 등 8대 시리즈 300여 개 품목을 순차적으로 선보이고 있는 심지로 가장 주목받는 브랜드 중 하나다. 2. 罗莱家纺 (LUOLAI) LUOLAI는 1992년 설립돼 2009년 A주시장에 상장된 기업으로 현재 침구, 작은가구 등 다양한 분야의 전품종 홈퍼니싱(home furnishing) 업체를 아우르고 있으며 매년 침구 판매량과 관련 실적
TV는 가전제품의 왕이다. 거실의 한 가운데서 가족이라면 누구나 매일 그 TV 브랜드를 보고 생활을 하게 된다. 브랜드 입장에서 TV로 선택된다는 것은 가족 브랜드로 선택된다는 의미다. 자연히 다른 가전 제품을 사면서 먼저 TV브랜드가 고려된다. 한국의 삼성과 LG는 그런 점에서 대단히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고 있다. 세계인의 가장 많은 선택을 받는 중요한 TV브랜드다. 중국에서는 어떨까? 실제 해외 브랜드를 포함한 순서를 보면, 역시 삼성이 1위였다. 2위는 소니였고, 우리 LG는 5위에 머물렀다. 중국 현지 브랜드들의 약진도 놀랍다. 중국 현지 브랜드인 하이센스가 3위를 차지했다. 해외 브랜드를 뺀 중국 TV브랜드 순위를 알아봤다. 1. 海信 (Hisense 하이센스) 하이센스는 중국 국내 브랜드이자 중국 국내 TV의 리더 브랜드로 매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이센스는 TV 화질이 좋고 TV칩을 독자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가장 유명해 지금까지 북미, 일본, 유럽 등에서도 제품을 많이 판매하고 있다. 2. TCL 1981년 설립돼 컴퓨터와 통신장비를 주로 취급하던 TCL은 한때 중국 TV업계의 왕자 브랜드였으나 지금은 삼성, 소니 같은 큰 브
공산 초기 중국에선 이사라는 게 쉽지 않았다. 호적제가 너무 '단디'하게 실시된 탓이다. 특히 도심의 호적은 호적을 가지고 태어났다는 것 자체가 특권이었다. 당이 정한 일을 해야 했고, 당이 정해주는 곳에서 살아야 하는 게 전부였다.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이래 중국에서는 조금씩 거주 이전의 자유가 넓어지기 시작했다. 지금은 지방의 토호라면 베이징에 아파트 한 채씩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지방과 지방간의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다. 또 발전의 고질병인 특정 도시 중심의 개발도 가속화 돼 '도농격차'는 중국의 중요한 사회 문제 중 하나가 된 지 오래다. 이주의 가장 큰 원인인 일자리 역시 다양해졌다. 젊은이들은 일자리를 찾아 도시와 도시를 옮겨다니고 있다. 자연히 발달하는 게 이사업체다. 포장이사는 물론 새로운 인테리어까지 제안해주는 이사업체가 있을 정도다. 중국 주요 이사업체 순위를 알아봤다. 1. 蚂蚁搬家 (개미이사) 1996년 설립된 개미이사는 현재 중국 전국 대도시에 직영지사를 두고 있는 중국 유명 물류서비스업체로, 지금은 고객이 원하는 차종을 선택해 물류운송·이삿짐·크레인캐리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2. 货拉拉 (후오라라) 货拉拉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