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중국 작가로는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모옌(莫言)의 문학적 성과를 기리는 '모옌문학예술관'이 28일 산둥성 웨이팡시 가오미시에 문을 열었다. 이날 개관식에서 모옌은 "문학관 건립은 문학과 농촌 개발을 더욱 긴밀히 통합하기 위한 것"이라며 "문학관 개관을 통해 더 많은 문학애호가들이 이곳에 찾아와 소통하고, 동시에 이 땅의 발전과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모옌문학예술관은 모옌의 육필 원고와 필기구 등 그의 창작 활동과 관련된 집기류를 비롯해 국내외에서 받은 각종 문학상 수상 증서와 트로피 등이 전시되며 노벨문학상 수상을 기리는 노벨상 홀이 운영된다. 특히 영화 '붉은 수수밭'의 촬영지이자 항일 매복 전쟁이 일어났던 쑨자커우 샤오시교가 인접해 연계 관광지로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제4회 창장삼각주 국제문화산업박람회(长三角国际文化产业博览会, 이하 창장문화산업박람회)'가 16일 중국 상하이 국가전시센터에서 개막했다. 창장문화산업박람회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박람회는 '새로운 사명 수행: 창장삼각주 문화산업의 힘'을 주제로 창장삼각주 지역 문화산업의 새로운 발전 성과를 소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중국 12개 성시(省市), 32개 국가 및 지역의 1500여 개 문화 관련 기관 및 업체가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의 종합 문화산업 박람회로 기록될 전망이다. 이날 개막식에서는 상하이시, 장쑤성, 저장성, 안후이성 당위원회 선전부가 창장삼각주 문화산업의 통합적 발전 성과를 요약하고 '2023년 창장삼각주 문화산업 청서'를 공동으로 발표했다. 청서에는 엔터테인먼트, 관광, 패션, 자동차 등 다방면에 걸쳐 새로운 문화 소비의 수요 확대와 발전을 촉진한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특히 '자동차문화 전시장'에는 자동차 문화의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는 방침 아래 자동차 스포츠, 자동차 캠핑, 자동차 개조, 자동차 소비 등 4개 테마 전시공간이 마련됐다. 창장삼각주 지역은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경제가 가장 번영하고 국제 개방도가 가장 높으며 지역 통합도가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는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8번째 테마파크인 '주토피아' 오는 12월 20일 공식 개장한다고 24일 발표했다. 주토피아 테마파크는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두 번째 확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6년 개봉한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영화 '주토피아'를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영화 속 이야기를 현실판으로 옮겨놓은 듯 애니메이션의 주인공 캐릭터인 닉(여우)과 주디(토끼)가 경찰관이 되어 추격적을 벌이는 '주토피아: 뜨거운 추격전(Zootopia: Hot Pursuit)' 어트랙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주토피아: 뜨거운 추격전'의 주요 도로는 기본적으로 애니메이션 영화의 장면을 그대로 옮겨왔으며 영화에 나왔던 아이스캔디, 도넛 등의 먹거리도 매장에서 판매된다. 주토피아 방문객은 전 세계 디지니랜드 최초의 주토피아 테마파크에서 무궤도 주행 등 속도감과 긴박감 넘치는 추격전을 체험하게 된다. 한편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모기업인 미국 월트디즈니컴퍼니는 지난 9월 19일 " 향후 10년간 테마파크와 크루즈 등 사업에 약 80조 원을 지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최근 미디어 환경 변화로 TV·방송 네트워크 사업의 매출이 감소하는 가운데, 체험형 엔터테인먼트 사업
중국과 로마는 동서양의 고대 문명을 대표한다. 서한시대 실크로드의 개통은 동서양을 잇는 다리가 되었으며 이는 중국과 로마가 소통하는 첫걸음이기도 했다. 중국 장쑤성 쑤저우오문화박물관(苏州吴文化博物馆)에서 23일부터 내년 2월 29일까지 '예술의 제국 - 나폴리 국립고고학박물관 소장 고대 로마 문화 유물 특별전시회'가 개최된다. 이번 전시회에는 이탈리아 헤르쿨라네움과 폼페이에서 발굴된 컬렉션을 비롯해 로마시대 조각상, 은제품, 유리제품, 프레스코화, 모자이크 등 98점이 선보인다. 제1 전시구역 '제국의 예술, 예술의 제국'에서는 고대 로마가 지중해를 중심으로 제국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미술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보여준다. 전시구역 2 '현실적인 초상화와 이상적인 초상화'에서는 고대 로마 초상화와 미술의 발전 과정을 소개한다. 전시구역 3 '색채의 길'에서는 흰색과 우아한 대리석 조각상, 정교하고 화려한 모자이크 벽화, 윤기 나는 유리제품 등의 전시물을 통해 고대 로마의 다채로운 삶을 엿볼 수 있다. 전시구역 4 '예술과 기술'에서는 로마시대 도로, 교량, 수도 등 당시 세계에서 가장 고도로 발전된 인프라 건설 기술에 스며든 예술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고대
'제8회 루자쭈이금융성 국제커피문화축제(陆家嘴金融城国际咖啡文化节)'가 18일부터 22일까지 중국 상하이 푸동 루자쭈이 금융무역구의 중앙녹지와 상하이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19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올해 커피 축제에 참가한 카페 수는 약 270개로 역대 최대 규모다. 18일 개막식에선 호주 빅토리아주관광청과 푸둥신구 문화체육관광국이 공동으로 '호주 커피 테마의 달'을 발족시켰다. 호주 시드니의 머키(Merki) 커피와 스티치(Stitch) 커피, 브리즈번의 토이박스(Toybox) 커피 등이 참가해 호주 커피 문화를 소개했다. 이번 커피 축제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중국 커피 로밍 투어'를 글로벌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했다는 점이다. 싱가포르의 홈그라운드 커피 로스터, 태국 치앙마이의 ROAST8RY, 일본 도쿄의 GLITCH TOKYO, 한국 서울의 FRITZ COMPANY 등 독특한 부티크 카페를 축제 현장에서 만날 수 있다. 또 상하이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1회 루자쭈이 국제 커피 포럼'에는 전 세계 커피업계 주요 인사들이 참가해 글로벌 커피산업에 대한 심층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제5회 상하이 국제 미술 무역 주간'이 '글로벌 미술 시장·아트 상하이'를 주제로 11월 9일부터 13일까지 개최된다 16일 중국 상하이시 인민정부 정보판실에 따르면 올해 무역 주간은 국내외 미술품 유통의 전략적 연결고리로서 상하이의 도시 기능을 강조한다는 방침이다. 250개 이상의 중국 및 해외 미술 기관이 참여해 100개 이상의 전시 및 거래, 30개 이상의 미술품 경매 등이 개최되며 총 거래 금액은 100억 위안(약 1조 8480억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G20 회원국, BRICS 국가, SCO 국가의 갤러리가 전시에 참가하며 그리스, 라트비아 등 일대일로 주변 국가의 19개 갤러리도 참가한다. 올해 무역 주간에는 '제10회 웨스트번드 아트 페어', '제11회 ART021 아트 페어', '청소년 아트 페어', '온라인 아트&디자인 박람회' 등 4개 아트 페어가 동시에 열려 전시업체 수와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또 '제6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에는 세계 3대 경매사인 크리스티(Christie's), 소더비(Sotheby's), 필립스(Phillips)가 모두 참가한다. 한편 올해 무역 주간에는 '상하이 국제 문화재 및 미술품
중국 최대 공연예술 축제로 꼽히는 제22회 중국상하이국제예술제(CSIAF)가 10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 개최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3년 만에 열리는 이번 CSIAF는 세계적인 지휘자 크리스토프 에센바흐(Christoph Eschenbach)와 중국상하이국제예술제 오케스트라의 개막 전야 야외 공연으로 문을 연다. 소프라노 안젤라 조르기우, 바이올리니스트 막심 벤게로프도 출연한다. CSIAF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에센바흐는 11일 기자회견에서 "새롭게 창단된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젊은 음악가들과 공연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우리는 음악을 통해 우정과 평화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CSIAF는 1999년 중국 국무원의 비준을 거쳐 발족됐으며 매년 문화관광부가 주최하고 상하이 시정부가 주관한다. 올해 예술제에선 상하이곤극(昆剧)단의 대표 레퍼토리 '모란정(牡丹亭)'을 비롯해 총 400회의 대규모 무대공연(연극, 음악, 춤)과 다양한 전시 및 예술 교육 프로그램 등이 선보여 약 600만 명의 관객을 만날 것으로 전망된다. 또 개막식 당일에는 '제22회 CSIAF 실크로드 국제예술제 얼라이언스 포럼'도 동시에 개최된다.
'446억 위안' 올 들어 9월까지 중국 영화 박스 오피스 매출액이다. 한화로 약 8조 232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이미 지난 한 해의 매출에 육박한 상태다. 중국 영화시장이 또 다시 성장세에 가속 패달을 밟고 있다. 중국 영화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 봉쇄 속에 가사상태에 빠졌다가 지난해말부터 조금씩 회복이 되고 있다. 올해 들어 상처를 완전히 씻어내고 이제는 가파른 성장세를 시현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영화시장은 이미 글로벌 1위 수준이다. 아쉬운 것은 중국의 영화시장이 다시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우리 한국 콘텐츠들이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윤석열 정부의 현재 외교 기조대로라면 한 동안 전환점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6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1~9월 중국 전국 영화 박스오피스가 446억 위안(약 8조 2320억 원)을 돌파해 2021년 연간 박스오피스(470억 위안)에 근접했다. 특히 국경절 연휴 기간 중국 전국 박스오피스는 26억8000만 위안, 총 관객수는 6385만 명으로 집계됐는데 전년 동기 대비 두 배가량 증가한 수치다. 장이머우 감독
중국과 프랑스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특색 있는 전시회가 개막했다. 지난 9월 29일부터 내년 1월 7일까지 상하이 세계엑스포박물관에서 선보이는 '모네와 그의 친구들, 빛과 그림자' 전시회이다. 이번 전시회는 19세기 인상주의 미술의 창시자인 프랑스 화가 클로드 모네(1840~1926)를 중심으로 인상파 화가들의 창작 세계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로 꼽힌다. 호주에 본사를 둔 '그랜드 익스피어리언스(Grand Experiences)'가 개발한 몰입형 디지털 예술 체험 시스템인 '센서리4(SENSORY4™)'로 구현된 전시 공간에서 인상파 화가들의 대표적인 작품은 물론 창작 당시의 주변 환경까지 체험할 수 있다. '센서리4' 시스템은 단순히 작품을 바라보는 시각적 경험에서 벗어나 청각, 후각, 촉각 등을 통해 전시물을 감상하는 전방위 몰입 공간을 만들어낸다.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이번 전시의 핵심인 '빛과 그림자' 전시 영역 외에 체험 영역에는 모네 저택의 침실, 식당, 거실, 정원을 1:1 비율로 복원해 놓았고 수련 거울방 등도 꾸며졌다.
'다큐멘터리를 넘어: 20세기 유명 서양 사진가들의 원본 작품 전시회(超越纪实:20世纪西方摄影名家原作展)'가 최근 개막했다. 21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이번 전시는 중국 쑤저우 양청호 인근에 위치한 'Guardian Youai Art Center(嘉德·宥爱艺术中心)'에서 내년 2월 25일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는 미국 시카고대 동아시아미술센터 소장이자 저명한 미술사가인 우훙(Wu Hung)이 기획한 것으로, 20세기 세계 최고의 사진 거장 35인의 대표작 100점을 감상할 수 있다. 우홍이 선정한 35명은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로버트 프랭크, 디안 아버스, 어빙 펜, 로버트 라우센버그, 제프 쿤스, 데미안 허스트, 볼프강 틸만스 등 한국에도 많이 알려진 사진작가 및 예술가들이다. 우홍은 이들 작가들의 작품을 4개 파트로 나누었다. 첫 번째 부분인 '독립적인 사진을 추구하다'에서는 회화라는 모체에서 사진예술이 탄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두 번째 부분 '현대 언어 탐구'에서는 모더니즘 범주에 진입해 끊임없이 새로운 시각적 언어 체계를 시도하며 사진 예술을 흥미로운 발명과 창조로 채우는 사진가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세 번째 부분인 '개인화된 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