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 중국의 지난 2024년 은행들의 순이자마진율이다. 전년보다 17%p 줄었다. 중국의 시중금리가 지속적으로 떨어지면서 이미 지난해 은행들의 순이자 마진율이 1.5% 대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의 순이자 마진이 늘어나는 한국과 정 반대의 상황인 것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연구기관인 안영(Ernst & Young)은 최근 『중국 상장은행 2024년 회고 및 향후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58개 상장은행(그 중 A+H주 은행 15개, A주 은행 27개, H주 은행 16개)의 2024년도 경영 실적과 자산 건전성 등의 최신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시장 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기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인하된 데다 실물경제에 대한 이익 환원이 이어진 영향으로 2024년 상장은행들의 순이자마진(NIM)이 더욱 축소됐으며, 평균 순이자마진은 1.52%로 전년 대비 17bp 하락했다고 밝혔다. 순이자마진 축소의 영향으로 2024년 상장은행의 순이자수익은 전년 대비 2.20% 감소했다고 전했다. 안영 대중화권 금융서비스 부문 총괄 파트너 신이(忻怡)는 현재의 저금리 환경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70조 1,778억 위안’ 한화로 약 1경 3,823조 6,230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4월 선물거래 시장 거래량이다. 중국 선물 거래는 위안화의 국제화를 위한 한 축이다. 전년동기 대비 무려 24% 가량이 늘어난 수치다. 흔히 달러 기축통화는 미국의 국력 때문만으로 안다. 하지만 기축통화의 조건을 국가의 국력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에서 차지하는 경제 규모, 또 그 통화로 교환할 수 있는 실물 자산이 있느냐 여부가 중요하다. 미국 달러는 오일시장의 거의 유일한 결제화폐다. 중국은 이 같은 기축화폐의 조건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위안화 거래 선물시장을 구축하고 있다. 이 그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이다. 즈퉁차이징 등 중국 경제지들에 따르면 중국선물업협회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중국 선물시장 거래 동향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단변 계산 기준으로 4월 전국 선물거래 시장의 거래량은 8억 858만 6,468건, 거래금액은 70조 1,778억 위안(약 1경 3,823조 6,230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1.49%, 23.69% 늘었다. 올 1~4월 전국 선물거래 시장 누적 거래량은 26억 5,822만 5,270건, 누적 거래금액은 232조
‘28조 9,934억 위안’ 한화로 약 5,711조 1,199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올 4월 상하이선물거래소의 거래량이다. 전년동기 대비 무려 27% 가량 늘어난 수치다. 중국의 선물시장이 어느 정도 속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지 잘 보여주는 수치다. 즈퉁차이징 등 중국 경제지들에 따르면 중국선물업협회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중국 선물시장 거래 동향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상하이 선물거래소 거래량은 은 2억 3,201만 4,992건, 거래금액은 28조 9,934억 위안으로 각각 전국 시장의 28.69%, 41.31%를 차지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97%, 26.88% 증가한 수치다. 올 4월 말 기준 상하이선물거래소의 총 미결제약정은 979만 2,863건으로 전월 말 대비 15.28% 감소했다.올 1~4월 누적 거래량은 7억 2,549만 9,224건, 누적 거래금액은 77조 1,959억 위안(약 1경 5,206조 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1.08%, 42.78% 증가했으며, 전국 시장에서 각각 27.29%, 33.24%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4월 상하이국제에너지거래센터의 거래량은 1,742만 7,671건, 거래금액은
“스마트폰 글로벌 판매 순위를 보면 중국의 저력이 보인다?” 무슨 말인가? 글로벌 1~5위 사이 글로벌 스마트폰의 강자, 애플과 삼성을 빼고 나면 중국 제조사들이 3~5위를 모두 차지했다. 언제든 애플이나 삼성을 대체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제조사들은 기술도 기술이지만, 제조회사들의 폭도 큰 게 특징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올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순위가 발표됐다. 자료에 따르면 1위는 역시 애플이었다. 삼성이 2위를 차지했다. 중국 브랜드는 10위에 7개를 차지했다. 3~5위는 모두 중국 브랜드들이었다. 애플, 레노버 등 브랜드는 출하량 대비 매출이 높아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레노버의 소형 폴더블폰은 전 세계 판매 1위를 기록했다. 중국의 가성비가 세계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제품은 언제부터인가, 그저 싼 제품이 아니다. 싸고 질이 나쁘지 않은 제품에서 요즘은 싸고 좋은 제품들로 인식되고 있다. 자연히 중국 스마트론은 글로벌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 잡고 있는 것이다. 2025년 1분기 해외 매출 순위에서는 애플, 삼성, 샤오미, 레노버, 오포, 트랜션, 구글, 비보, 아너, 리얼미 순으로 10대
“2025년 4월 29일, 텐펑파워의 말레이시아 공장이 슬랑오르주 반진 지역에서 정식으로 가동을 시작했다. 해당 공장은 부지 면적이 0.2제곱킬로미터에 달하며, 현지에 750개의 일자리를 제공할 전망이다.” 중국 매체가 전한 소식이다. 중국의 해외 직접 투자가 말레이시아 경제성장에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었다. 중국의 ‘세계 경영’이 시작되고 있다. 중국의 글로벌 경제에서 무역 거래뿐 아니라 직접 투자로 직접적인 영향력까지 키우고 있어 주목된다. 미국 중심의 무역체계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전 유발이래 흔들리기 시작하자 중국이 본격적으로 틈새를 노리고 나선 것이다. 중국 매체는 위의 사례에 대해 “이는 중국 배터리 산업 체인 기업들이 말레이시아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흐름의 한 단면에 불과했다.”고 전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실제 말레이시아에서 중국 기업들은 최근, 이웨이리뇌(亿纬锂能)의 말레이시아 공장에서 첫 셀(cell)이 성공적으로 생산라인을 통과했고, 하이스다(海四达)는 약 7.5억 위안(약 1,480억 4,250만 원) 규모를 투자해 말레이시아에 2.5GWh 원통형 배터리 기지를 건설할 계획임을 발표했다. 또 싱위안재질(星源材质)은 기존에 모집
‘17조 7천억 위안’ 한화로 약 3,421조 4,100억 원 가량이다. 중국에서 올 1분기 은행들이 첨단산업에 대출해준 잔액 총액이다. 전년동기대비로 20% 가량 늘어난 수치다. 중국 당국의 지원 아래 중국의 첨단 산업은 말 그대로 무럭무럭 자라고 있는 것이다. 산업의 발전은 결국 투자된 돈에 비례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판공실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중국 첨단단산업 은행 대출 현황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전국 첨단기술기업 대출 잔액은 17조 7천억 위안(약 3,421조 4,1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다. 이 외에도 과학기술 성과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첫 번째 중대한 기술 장비 및 주요 신소재의 첫 배치 응용을 대상으로 두 가지 보험 보상 시범사업을 시행했으며, 현재까지 누적 위험 보장 규모는 1조 위안(약 193조 3,000억 원)을 초과했다. 금융감독총국의 쫑린 부국장은 핵심 분야와 중요 고리에 위치한 민영기업에 대해, 금융감독총국이 ‘업종별 맞춤 전략(一业一策)’에 초점을 맞추고 산업의 특성을 바탕으로 맞춤형이고 전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재가 만사다. 한국에서도 유명한 말이다. 하지만 요즘 한국에서는 너무 익숙해져, 아무도 주의하지 않는 말이 되고 말았다.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고, AI 인재를 양성한다고 말을 하고 있지만, 정작 우수 인재들은 의사가 되겠다고 줄을 서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자격증이 바로 의사 자격증인 탓이다. 이 같은 상황이 개선되지 않고는 머리 좋은 이들은 모두가 의사가 되려 하지, 공학도가 되려 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우려다. 이에 비해 중국의 상황은 사뭇 다르다. 반도체 인재를 양성한다고 밝힌 이래 꾸준히 각 대학에서 인재들을 쏟아내고 있다. 그 결과, 미국을 뒤쫓는 수준에서 이제는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으로 반도체 산업 기술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AI 분야 역시 마찬가지다. 딥시크의 기술은 이미 세계를 놀라게 했다. 중국의 보안 문제로 각국에서 이용을 꺼리고 있지만, 그래도 최소한 기술만큼은 주목 할 만하다고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 대학을 졸업한 인재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도시는 어딜까? 베이징, 상하이? 역시 맞았다. 중국의 정치, 스마트 산업의 수도 베이징과 경제와 금융의 수도 상하이였다. 중국 매체들에
중국 경제는 이제 중국만 보지 않는다. 세계 시장을 보고 있다. 중국 비즈니스는 그 태생부터 글로벌화 하고 있다. 중국에서 성공이 이제 세계적인 성공을 담보하는 토대가 되고 있다. 그럼 이런 중국에서 어느 도시가 가장 우수한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하고 있을까? 베이징, 상하이?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이사회망과 중국데이터연구센터는 공동으로 「2025년 중국 최고의 지급 도시 비즈니스 환경 TOP 50 순위」를 발표했다.자료에 따르면 모두의 예상과 달리 쑤저우가 차지했다. 쑤저우는 요즘 문화 콘텐츠 산업으로 새롭게 성장하는 도시다. 이미 소비재 제로 유명한 우시와 섬유 산업 등으로 유명한 포산 등이 쑤저우의 뒤를 이었다. 중국 도시들의 비즈니스 환경은 전반적인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경제 세계화라는 큰 흐름 속에서, 비즈니스 환경의 우열은 도시 경제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가 되었다”며 “지급 도시는 중국에서 가장 주요한 인구와 산업을 포괄하고 있어 그 지위가 특히 중요하다”고 단언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중국 지급 도시의 비즈니스 환경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와 심층 조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번 순위는
‘2억 9973만 명’ 중국의 지난 2024년 농민공 수다. 전년보다 220만 명 늘어, 0.7% 가량 증가세를 보였다. 농민공은 농촌에서 일거리를 찾아 도시로 온 노동자들을 의미한다. 중국의 매년 연휴 ‘고향 만리길’ 풍경을 만들어내는 게 바로 이들 농민공들이다. 도시에서 온갖 허드렛일을 하지만, 그에 비해 형편없는 대접을 받는 이들이 이들 농민공이다. 중국 경제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계층이다.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2024년 농민공 모니터링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전국 농민공 총수는 2억 9973만 명으로 전년보다 220만 명 증가해 0.7% 성장했다. 그중 본지 농민공은 1억 2102만 명으로 0.1% 증가했고, 외지 농민공은 1억 7871만 명으로 1.2% 증가했다. 연말 기준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진입 농민공은 1억 3207만 명이었다. 중국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 진입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중국은 이 같은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 '부농'을 최고의 정책과제로 내세우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농민들이 농촌을 벗어나 도시로 일거리를 찾아 나서고 있는 것이다. 외지 농민공의 이동 상황을
중국의 올 1분기 규모 이상 공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장비 제조업과 고기술 제조업의 부가가치가 전체 규모 이상 공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1.9%포인트, 0.5%포인트 상승했다. 중국 산업구조가 지식기반으로 그 축을 옮기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최근 ‘2025년 1분기 산업 및 정보화 발전 상황’ 동향자료를 발표했다. 중국 매체들은 “공업 제품 수출은 강한 회복력을 유지하여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했고, 그중 기계·전기 제품 수출은 8.7%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자료에 따르면 식품, 화학, 비철금속 등 업종의 기술 개조 투자가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경영 주체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2월 말 기준, 규모 이상 공업 기업 수는 전년도 말보다 0.7만 개 증가했다. 공업정보화부 총공정사 셰샤오펑은 1분기 산업이 거시경제 성장에 기여한 비율이 36.3%에 달했으며, '밸러스트(안정추)' 역할을 지속적으로 발휘했다고 소개했다. 장비 제조업은 중요한 버팀목 역할을 하여 1분기 부가가치가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했고, 전체 공업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