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을 상징하는 중심어는 중국에서 '봉쇄'다. 간단히 인간의 이동 자유가 철저히 배척된 것이다. 하지만 지난해 중국 당국이 수년간의 봉쇄 정책을 버리고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면서 중국의 모든 움직임이 다시 분주해지고 있다. 올해 1~2월 중국 여객 운송, 화물 운송, 항만 물동량 등 교통 운수 산업 관련 통계 지표가 모두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중국 교통운수부에 따르면 1~2월 중국내 고속도로 이용 인구는 총 108억 6652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했다. 그 중 상업 여객 운수량은 18억 6647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7% 증가했다. 해운 여객 운수량은 3861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5% 증가했다. 도시 여객 운수량은 165억 4324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6% 증가했다. 그 중 버스와 트램의 도시 여객 운수량은 60억 1812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9% 증가했다. 택시 도시 여객 운수량은 58억 421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3% 증가했다. 도시 철도 여객 운수량은 47억 887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5% 증가했다. 화물 운수량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
'97억 8700만 장' 지난 3월말 현재 중국에서 발행된 은행 발급 카드 숫자다. 전년 동기 대비 3% 조금 더 성장한 수치다. 지난달 31일 중국 인민은행이 '2023년 지급 결제 시스템 운영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은행들의 지급 결제 시스템은 지난해 원활하게 운영됐으며 규모 면에서는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였다. 데이터를 살펴보면 지난해 말 기준 중국의 은행카드는 97억 8700만 장으로 이는 전년 대비 3.26% 증가한 수치이다. 중국 인구 1인당 6.93개의 은행카드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그 가운데 1인당 보유한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는 0.54장으로 집계됐다. 또 지난해 중국 은행에서 처리된 전자 결제 건수는 총 2961억 6300만 건, 금액으로는 3395조 2700억 위안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6.17%, 9.17% 증가한 수치다. 특히 모바일 결제는 1851억 4700건 증가했는데,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555조 3300억 위안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6.81%, 11.15%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위안화의 해외 지불 시스템 처리 건수는 661만 3300건, 금액으로는 123조 600억 위안으로 집계
'보아오 아시아포럼2024 연례회의'가 29일 나흘간의 일정을 마치고 폐막했다. 중국 하이난성 보아오에서 '아시아와 세계: 공동의 도전, 공동의 책임(亚洲与世界:共同的挑战,共同的责任)'을 주제로 열린 올해 포럼에는 세계 60여 개 국가 및 지역에서 2000여 명이 참가했다. 29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이번 포럼에선 글로벌 경제, 과학·기술 혁신, 사회 발전, 국제 협력 등 4개 주제로 40여 개의 하위 분과 포럼과 100여 개의 발표가 진행됐다. 특히 인구 고령화에 대한 적극적 대응과 고령친화 사회 구축 등 많은 국가가 직면한 공통 과제에 대한 서브 포럼이 마련돼 주목받았다. 보아오 포럼 사무국은 모든 참가 당사자가 심층적인 교류를 진행하고 광범위한 협력을 수행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플랫폼이 제공됐다고 평가했다. 보아오포럼은 공식적으로는 비정부 기구 행사지만 실질적으로는 중국 당국이 국제 여론을 형성하는 기회로 활용돼 왔다. 지난해까지 중국 권력 서열 1~2위인 국가주석과 총리가 번갈아가며 호스트 자격으로 기조연설을 해왔으나 올해는 처음으로 서열 3위인 자오러지(趙樂際)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이 연설자로 나서 격이 낮아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중국의 청년 실업률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는 등 고학력자 취업난이 가중하는 가운데 대학원 시험 응시자가 9년 만에 감소했다. 청년 실업은 중국 정부의 가장 큰 아킬레스건이다. 중국 공산당 독재의 정당성과 유지를 가장 위태롭게 할 요인이기 때문이다. 중국 공산당이 청년 실업률에 민감한 이유는 국민에게 일자리를 공급하는 게 공산주의 노동자 독재의 기본이기 때문이다. 중국 공산당이 실용노선을 택해 자본주의 시장 시스템을 받아들였지만, 공산 독재를 유지하는 것은 이 같은 정신이 지켜지고 있다는 명분이 있기 때문이다. 시진핑 정부가 경제 침체 국면을 극복하고 청년 실업 문제 해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지 주목된다. 중국 교육부가 2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전국 대학원 입학생은 전년 대비 4.76% 증가한 130만 1700명을 기록했다. 그 중 박사과정은 15만 3300명으로 전년 대비 10.29% 증가했고, 석사과정은 114만 8400명으로 전년 대비 4.07% 증가했다. 2023년 재학중인 대학원생은 388만 2900명으로 전년 대비 6.28% 증가했다. 그 중 박사과정은 61만 2500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10.14% 증가했고, 석사과정은 327만 5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코트라)가 28일 서울 염곡동 KOTRA 본사에서 중국 하이난 이도면세 시장 입점 설명회를 개최했다. 국내 중고급 소비재 기업의 중국 프리미엄 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된 이날 행사에는 중국 굴지의 면세점 기업인 왕푸징그룹과 하이난 여행투자그룹의 구매담당자가 직접 방한해 우리 기업을 대상으로 면세점 입점 전략을 소개했다. 또 중국 프리미엄 소비시장을 겨냥해 국내 패션, 귀금속, 골프용품, 건강기능식품 등 프리미엄 소비재의 입점 지원을 위한 1:1 상담회도 개최됐다. KOTRA는 주 광저우 대한민국 총영사관과 함께 현지 면세기업과 우리 기업 간 면담을 주선하고, 오는 4월 ‘하이난 국제소비재박람회’를 포함해 현지 전시회 한국관을 운영하는 등 더 많은 우리 기업이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황재원 KOTRA 중국지역본부장은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내국인 면세시장 입점을 통해 우수한 우리 중소·중견기업 브랜드가 중국 프리미엄 소비재 시장에 더욱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현재 중국 정부는 세계 최대 규모의 면세점인 ‘하이커우 면세타운’이 위치한 하이난성(省)을 자유무역지역으로 조성하고, 내수
'7.5%' 올 1~2월 중국 첨단기술 제조업의 부가가치의 전년동기 대비 증가폭이다. 3개월 연속 이어진 증가세다. 올해 1~2월 중국의 산업생산과 소비 지표가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어 좋은 출발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자오즈궈(赵志国) 공업정보화부 대변인은 "1월부터 2월까지 규모이상 첨단기술 제조업의 부가가치가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해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2월보다 0.2%포인트 높은 수치다. 자오 대변인에 따르면 41개 주요 산업군 중 39개 업종의 부가가치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또 31개 성급 지역 중 29개 지역에서 전년 대비 플러스 성장을 달성했다. 10개 주요 산업 지역은 모두 성장을 유지했는데 특히 저장, 광동, 장쑤 지역은 9.6% 이상의 성장률을 보였다. 자오 대변인은 기존 178개 국가첨단기술지구와 45개 국가 첨단제조클러스터를 기반으로 올해 국가신산업화 시범구 조성에 착수하고 선진제조클러스터 육성 등의 사업을 전개해 산업 발전을 촉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새로운 생산력 형성을 가속화하기 위해 AI(인공지능)과 실물 경제의 심층적인
중국 당국의 소비 회복 정책이 경제 성장을 견인한 가운데 지난해 중국 식자재 소비 시장 규모가 처음으로 9조 위안을 넘어섰다. 중국인들의 식탁이 갈수록 풍성해지고 있다는 의미다. 또 다른 한 편으로는 중국인들의 생활비가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26일 중국물류구매연합회(中国物流与采购联合会)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식자재 소비 시장 규모는 9조 3700억 위안(약 1735조 원)으로 전년 대비 10.31% 증가했다. 그 중 소매 식자재 소비 규모는 7조 25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7.66% 증가했으며, 요식업 식자재 소비 규모는 2조 12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0.45% 증가했다. 또 식자재 유통 시장 규모는 6조 10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78% 증가했다. 식자재 유통의 외부 환경을 보면 정책적인 지원을 통해 식자재 유통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중국 당국의 식자재 유통 발전 지원 정책에 힘입어 철도, 항공, 배송센터 등 인프라가 지속적으로 개선되면서 식자재 유통이 양적, 질적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교통 운수, 저장 및 배송 관련 고정 자산 투자는 전년 대비 10.5% 증가해 전국 고정 자산 투자의
중국 자연자원부(自然资源部)가 지난 23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영유권내 해양에서 파생된 총생산액은 9조 9907억 위안(약 1850조 원)으로 전년 대비 6.0% 증가했다. 중국 해양 경제가 탄탄한 기반과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중국 GDP에서 해양 총생산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전년 대비 0.1%p 증가한 7.9%를 기록했다. 중국중앙TV(CCTV)는 지난해 해양 경제의 질적 발전을 이끈 요인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꼽았다. 첫째, 중국 정부의 내수 확대 및 소비 진작 정책이 하나 둘씩 시행되면서 국민의 소비 수요가 증가하였고 해양 관광 소비 시장에도 훈풍이 불어 연해 지역의 숙박, 요식, 교통 등 서비스업의 소비가 신속하게 회복되었다. 이를 통해 2023년 해양 여객 운송량, 여객 화물 운송량은 전년 대비 각각 122.3%, 125.4% 증가했다. 특히 해양 관광이 발전한 장쑤성, 하이난성의 관광 소득은 전년 대비 각각 45.7%, 7.9% 증가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의 수준을 넘어섰다. 둘째, 해양 고정 자산에 대한 투자 증가다. 항만 건설의 경우 지난해 1월~11월 연해 지역 항만 고정 자산 투자액은 835억 위안(약 15조 원)
중국 3D 비전 분야의 선두로 꼽히는 오비벡(ORBBEC, 奥比中光)이 ‘엔비디아(NVIDIA) GTC 2024’에서 Microsoft Azure Kinect DK의 혁신적인 대안으로 Femto Bolt와 Femto Mega iToF 카메라를 선보였다고 22일 밝혔다. 오비벡은 '3D 비전 AI 강화(Powering 3D Vision AI)'라는 주제로 Femto Bolt와 Universal Robots 로봇 팔의 기능을 결합한 첨단 지능형 피킹 솔루션을 NVIDIA Orin AGX AI 컴퓨팅 플랫폼과 함께 선보였다. 오비벡에 따르면 해당 솔루션은 탁월한 정밀도로 물품을 감지, 피킹, 배치한다. 또 겹쳐 있거나 불규칙한 형태, 심지어 투명하거나 반사되는 물체를 포함하는 복잡한 작업을 손쉽게 처리하며 용기 피킹 기술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오비벡은 이번 시연에서 엔비디아 플랫폼 기반의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이며 차세대 로봇 비전 및 3D 스캐닝 기술의 획기적인 변화를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21년 중국 증시에 상장된 오비벡은 중국의 3D 비전 및 AI 비전 기술 선도 기업으로 로봇 공학, AI 비전, 3D 스캐닝, 생체 인식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는
'10% 성장' 올해 1~2월 중국 대외투자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폭이다. 중국의 대외투자 유치가 안정적인 성장세를 나타낸 것이다. 중국 경제의 밝은 신호여서 주목된다. 중국 경제는 올해 성장이냐, 침체냐의 기로에서 그 방향성이 더욱 명확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지난 21일 중국 상무부는 언론 브리핑에서 올 1~2월 중국 대외투자 협력 현황에 대해 밝혔다. 우선, 중국의 비금융 해외 직접 투자 총액은 1496억 4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했다. 중국 기업들의 일대일로 참여국에 대한 비금융 직접 투자는 331억 8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6% 증가했다. 또 1~2월 중국의 대외 도급 공사 영업액은 1380억 6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했다. 새로 체결한 계약액은 1951억 2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1% 증가했다. 중국 기업들의 일대일로 참여국 관련 도급 공사 영업액은 1114억 2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하였으며 새로 체결한 계약액은 1628억 6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7% 증가했다. 다각화된 협력 측면에서 중국의 대외투자는 비금융 직접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