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난해 중국 모바일 결제 규모 555조 3300억 위안, 11.15% 증가

 

'97억 8700만 장'

지난 3월말 현재 중국에서 발행된 은행 발급 카드 숫자다. 전년 동기 대비 3% 조금 더 성장한 수치다.

지난달 31일 중국 인민은행이 '2023년 지급 결제 시스템 운영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은행들의 지급 결제 시스템은 지난해 원활하게 운영됐으며 규모 면에서는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였다. 

데이터를 살펴보면 지난해 말 기준 중국의 은행카드는 97억 8700만 장으로 이는 전년 대비 3.26% 증가한 수치이다. 중국 인구 1인당 6.93개의 은행카드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그 가운데 1인당 보유한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는 0.54장으로 집계됐다. 

또 지난해 중국 은행에서 처리된 전자 결제 건수는 총 2961억 6300만 건, 금액으로는 3395조 2700억 위안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6.17%, 9.17% 증가한 수치다.

특히 모바일 결제는 1851억 4700건 증가했는데,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555조 3300억 위안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6.81%, 11.15%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위안화의 해외 지불 시스템 처리 건수는 661만 3300건,  금액으로는 123조 600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50.29%, 27.27% 증가한 수치다. 

사실 중국의 금융결제 시스템의 발전은 다른 나라에 비해 늦게 시작한 편이다. 개혁개방과 함께 결제량이 급증했고 금융시스템 역시 이에 맞춰 발전했다. 

개혁개방 직후만해도 중국에서는 신용카드를 사용하기 위한 결제망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았다. 현금인출기마저 찾기 힘든 상황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중국의 금융결제 시스템은 글로벌 사회 최첨단이 됐다. 인민은행은 글로벌 사회에서 가장 먼저 디지털 화폐를 발행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중국에서는 신용카드보다 QR코드를 통한 계좌 이체방식, 전자지갑 방식에 더욱 익숙해져 있다.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을 넘어 QR코드 디지털 결제방식이 주류로 자릴 잡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