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뼈에서 살을 발라내는 아픔,이별의 별(別)



 

단장의 고사는

아기를 잃은 어미 원숭이의 이야기다.

 

아기 원숭이가 잡히자,

어미가 따라 오며

울다 울다

결국 죽고 말았는 데,

 

죽은 어미 원숭이의

그 가슴을 열어보니

 

너무 깊은 슬픔에

오장육부가

마디마디

끊어져 있었다는 이야기다.

 

짧지만 이처럼

혈육 간 이별을 표현한 글이 있을까.

 

그래서 나온 표현이 

단장, 

장이 끊어졌다는 

말이다.

 

단장의 슬픔이

단장의 아픔이

바로

이별의 슬픔요

아픔인 것이다.

 

애달픈 것은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

이 아픈

이 슬픈

단장의 이별을

약속 받는다는 점이다.

 

그게 삶이다. 

 

삶은 얻었다

잃는 것이다.

 

차면 기우는 달처럼

만났다 헤어지는 게

바로 우리네 삶이다.

 

‘매일 이별하며 살고 있구나’

노랫말

그대로다.

 

우리는 매일

너무 살갑고 익숙한

너무도 사랑하는

오늘의 너와

너희와

이별하고 있다.

 

갑골자 별(別)은 이런 이별의 아픔을

하나 틀림없이 그려낸다.

 

뼈에 붙었던 살점을

칼로 뜯어내는 모습이다.

 

뼈에서 살이 떨어지는 아픔,

그게 바로 이별의 별이다.

 

단장의 고사,

이별의 아픔,

별(別)이라는 한자는 

그렇게 담고 있는 것이다.

 

뼈에서 살을 발라내는 것,

내게서 너를 떼어내는 것,

그래서 

너무도 아픈 것

아파서 

잊을 수 없는 것

 

바로 이별인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