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있는 모든 것 이외의 것의 이름, 있지 않을 무(無)


유(有)를 알아야 무(無)를 알고,
무(無)를 알아야 유(有)를 안다.



 

무는 없다는 것이다.

없다는 것은 어찌 알까?

 

한자를 그런 무(無)를 표시했다.

그것도 상형자다.

도대체 어떤 모습에서 없다는 것을

있지 않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었을까?

 

사실 없다는 것은

있는 것을 다 알고,

그리고 나서야

비로소 아는 것이다.

 

있는 것들,

그 외 것이 바로 무(無)인 것이다.

 

있는 것을 빌어

없음을 아는 것이다.

 

사실 갑골자의 무(無)가 그렇다.

춤을 추는 모습이다.

춤을 추며 손에 든 것을

몸에 부착한 것을

모두 보여주는 게 바로 무(無)다.

 

 

춤이라는 의미의 무(舞)가 생기면서

없을 무(無)와 구분됐지만

없을 무(無)나

춤출 무(舞)나

본래 하나의 글자였다.

 

없다는 것은 있다는 것을

다 보여준 뒤야

비로소 알게 된다.

내 곁에 무엇이 없는지를 ….

 

갑골자 무는 그렇게

실제론 가차자다.

춤 무(舞)를 빌어 없을 (無)로 썼다.

있음을 빌어

없음을 표기한 것이다.

 

“遥知兄弟登高处, 遍插茱萸少一人。”

(요지형제등고처, 편차수유소일인)

“저 멀리 형제들 산에 올랐겠지.

그리고

돌아가며 수유나무 가지를 머리에 꽂다

그 때 비로소

다시 알겠지. 내가 자리에 없음을 ….”

 

당나라 시인 왕유의 시 한 구절이다.

중양절 산에 올라 수유나무 가지를 머리에 꽂는 풍습을 견줘

형제애를 그렸다.

 

수유나무는 항상 준비하는 것이다.

있는 것이다.

그 수유나무를 형제들에게 나눠주다

문뜩 새롭게 안다.

나 우리 형제 왕유가

이 자리에 없구나.

 

있었기에,

있기에

비로소 아는 것이다.

이제 없다는 것을 ….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