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골리앗 앞의 다윗, 승리를 확신하는 의연할 의(毅) 

 

"푸른 하늘에 닿을 듯이

세월에 불타고 우뚝 남아 서서

차라리 봄도 꽃피진 말아라

 

낡은 거미집 휘두르고

끝없는 꿈길에 혼자 설레는

마음은 아예 뉘우침 아니라

 

검은 그림자 쓸쓸하면

마침내 호수 속 깊이 거꾸러져

차마 바람도 흔들진 못해라"

 

이육사의 ‘교목’이다. 지난 1940년 '인문평론' 7월호에 발표됐다.

구구절절 의연함이 묻어있다.

 

거센 바람, 세월의 풍파

그 속의 교목이 주는 감정이다.

 

사실 교목보다 더 의연한 것은

절벽 위의 고송(孤松)이다.

 

거센 바람 속에

위태로운 모습으로

묘하게 고부란진 몸으로

하늘을 받들 듯

핀 외로운 소나무다.

 

꼬인 몸은 그가 견딘 세월이요,

고통의 무게다.

 

성경의 골리앗 앞에 선 다윗의 모습이라 할까.

 

한자 의연할 의(毅)의 모습이 그렇다.

의는 회의자다.

거대하고 무서운 산돼지 앞에 채찍은 든 이가 선 모습이다.

정말 골리앗을 길들이는 다윗의 모습이다.

한자 의(毅)처럼

의연함의 가치는 우리 동양사회 면면이 이어진다.

 

사실 다윗처럼

굳이 그렇게 숭고하지 않아도 된다.

자신보다 높은 키의

종이뭉치가 실린 리어카를 끌면서도

길에 버려진 깨진 병을

주어 굳이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넣는 할머니의 모습에서,

 

흰 머리를 모자 속에 감추고

빨간 안내봉을 들고

기차길 건널목에 서서 매 순간

쉼없이 행인들의 안전을 살피는

늙은 안내원의 모습에서,

 

우리는 문뜩 의연함을 느낀다.

세월의 무게를 견딘

소소하지만 필연적이고

필수적인 삶의 가치들을 느낀다.

 

우리는 모두가

저 산 앞에

저 강 앞에

한 해를 지내고 떨어진 꽃잎에 불과한 탓이다.

 

‘靑山依舊在 幾度夕陽紅’(청산의구재 기도석양홍)

‘의구한 청산이여, 몇 번이나 석양을 겪었는가.’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