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노예에서 주인이 된 민(民)

 

‘민주’

청춘의 대학생 시절 가슴을 뛰게 한 단어다.

1980년대 대학생 가운데

누가 있어 이 단어에 술 한 잔 기울이지 않은 이 있으랴.

 

‘민중의 넋이 주인 되는 참세상 자유 위하여…’

민주여

백성 민,

주인 주의 민주여.

 

하지만 이 민(民)이라는 단어 자체가

본래 그렇게

가슴 벅찬 단어라는 것을 아는 이는 드물다.

 

백성의 민(民),

사실 글자 하나가 핏빛 역사를 말없이 증언하고 있다.

 

 

갑골자에서 백성 민(民)은 상형자다.

눈을 날카로운 바늘로 찔러

피가 흐르는 모습이다.

 

아래로 바로 위로

찌르는 게 바늘이요,

사선으로 아래로

길게 뻗은 게

핏물이다.

잔혹한 형벌을 받는 모습이다.

 

본래 이 모습은

노예를 만드는 장면이라고 한다.

 

과거 전쟁에서 적을 사로잡으면

노예로 만들었다.

팔 다리를 족쇄로 묶기도 했지만

그러면 힘을 다 쓰지 못해

생산력이 줄었다.

 

그래서 고대 생각해낸 방법이

눈을 찔러

시력을 상하게 하는 것이다.

시력이 떨어져

눈앞만 보도록 하면

힘을 힘대로 쓰면서

저항력을 잃어버리게 된다.

 

결국 백성 민(民)은

노예 민(民)이었던 것이다.

 

그럼 이 글자가 어떻게

백성 민(民)이 됐을까?

 

동양에서는 주나라와

춘추전국 시대

노예와 백성 민(民)의

역사적 흔적이 나온다.

 

“哀我征夫, 獨爲匪民”(애아정부, 독위비민)

"부역 간 장부만 불쌍하네, 홀로 노예취급을 받네“

 

시경 소아(小雅)

‘何草不黃’(하초부황:어떤 풀이 시들지 않느냐)의 한 구절이다.

 

민이 진정한 백성이 되는 때가

춘추전국 시대다.

수많은 영주들은 경쟁에 승리하기 위해

노예를 해방시켜준다.

 

맹자에 이르러서는

군주의 정통성을 보장하는 무리가 된다.

시력을 잃은 노예에서

참으로 감격스러운 변화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