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자국산 온라인 게임 67개 판호 발급

 

중국 정부가 6월에 이어 게임 판호(版號, 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발급했다.

중국 국가신문출판서는 12일 밤 홈페이지 공고를 통해 67개 자국산 온라인 게임에 판호를 내줬다고 밝혔다.

중국의 게임산업 억제 정책에 변화가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중국은 2021년 7월 판호를 내주고 나서 아무런 정책적 배경 설명도 없이 올해 3월까지 단 한 건의 게임 판호도 발급하지 않다가 4월 들어서야 자국산 게임 판호 발급을 재개했다.

올해 들어서는 4월(45개), 6월(60개), 7월 세 차례에 걸쳐 총 172개의 중국산 게임 판호가 발급됐는데 중국 경제가 코로나19 확산 등의 여파로 심각한 충격을 받은 상황에서 관련 업계의 숨통을 틔워주려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하지만 시장에서 특히 관심이 큰 텐센트와 넷이즈의 게임 판호는 여전히 새로 발급되지 않고 있다. 텐센트와 넷이즈가 판호를 받은 것은 2021년 7월이 마지막이었다.

다만 텐센트와 비리비리 등 대형 업체들이 지분 투자를 한 회사들의 게임은 7월 판호 발급 대상에 일부 포함됐다.

또한, 외국 게임 대상 판호 발급도 연초 이후 새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7월 22일 이후 8개월 간 아무런 설명 없이 신규 판호 발급을 중단했다.  동시에 청소년의 게임 이용 시간을 제한하면서 중국 게임업체는 물론 중국 시장을 겨냥한 외국 게임업계도 직격탄을 맞았다.

중국에서 게임은 그 중독성 탓에 정부의 제재를 받고 있다. 중국은 중강도의 수위로 게임산업을 압박하며 자국내 청소년들의 게임 중독을 최소화하려 노력하고 있다.

한국도 한때 게임 중독에 대한 위험성을 고려해 게임산업을 억제했지만, 한국 게임산업이 세계적인 강세를 보인다는 점을 고려해 대거 규제를 풀어준 바 있다.

현재 온라인 게임은 미래 가장 중요한 산업으로 각광받는다. 메타버스 시대를 맞아 현실 속 게임과 게임 속 현실이 공존하는 게 가능해진 덕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