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떠나는 한국 기업들

 

한국 기업들이 탈(脫) 중국 흐름을 선도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9일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로 인한 중국의 보복, '제로 코로나' 정책 고수에 따른 중국 내 경기 침체 등으로 한국 기업들의 중국 사업 정리 및 재정비가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가장 눈에 띄는 기업은 롯데그룹과 아모레퍼시픽이다.

롯데그룹은 현재 랴오닝성 선양(瀋陽)의 테마파크 사업을 16억 달러(약 2조 원)에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롯데는 애초 2014년 선양에 롯데백화점을 개점하면서 부근에 테마파크와 아파트, 호텔 등을 갖춘 롯데타운을 지으려 했으나 사드 문제가 불거지면서 2016년 12월 중국 당국의 명령으로 공사가 중단됐다.

2019년 4월 당국이 시공 인허가를 다시 내줬지만, 이번에는 코로나19 여파로 사업이 멈춰 테마파크를 매각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블룸버그는 롯데그룹이 중국 법인 본사를 폐쇄하는 막바지 단계에 있으며 아시아의 다른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모레퍼시픽은 한류를 타고 2016년 중국에서 2080억 원의 이익을 거뒀지만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이후 중국 내 1000개 이상의 화장품 매장을 폐쇄했다.

블룸버그는 삼성, LG, 현대차 등도 중국 사업을 일부 정리하거나 재정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SDI는 배터리 셀 사업에 집중하려고 작년 중국의 배터리 팩 공장 2곳을 폐쇄했고, LG전자는 지난해 중국 내 공장 2곳의 문을 닫았다.

블룸버그는 한국 기업들이 중국을 떠나고는 있지만 한국의 228개 핵심 수입품 가운데 80%를 중국에서 들여오는 상황이라 중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