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마주 볼 정(正), 속일 수 없는 게 있다

‘바르다’

곧다, 밝다는 의미다. 그런데 곧고 밝은 게 무엇일까?

다른 질문이 아니다.

간단히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다.

우리 사회의 최대 화두이기도 하다.

 

문제는 간단한데,

답은 쉽지 않다.

누구는 이 질문에 책을 한 권 썼다.

 

곧고 밝은 것,

자연 현상이라면 쉽지만

사람의 일이라 설명이 쉽지 않다.

사람의 일 가운데

무엇이 곧고 밝은 것인가?

우리는

어떻게

곧고 밝은 걸 아는가?

역시 책 한 권은 나올 질문이다 싶다.

 

그런데

갑골문의 해설은 쉽다.

간결하고

명료하다.

 

갑골문에서

바를 정(正)은 어느 점을 향해

나아간 발의 모습이다.

 

 

점이 보이고 아래 발이 보인다.

간결한 선으로 너무도 분명히 발을 표현했다.

 

왜 발일까?

축구 선수나 농구 선수를 생각하면

이해가 된다.

두 선수 모두 경기에서

앞으로 나가는 것을

속여야 할 때가 있다.

 

이 때 몸을 틀기도 하고,

시선을 돌려 보는 시늉으로

상대방에게 나아갈 바,

나아갈 곳을 속인다.

 

하지만 정말 속이지 못하는 게 있다.

발이다.

발은 앞으로 향하면

그 곳이 앞이다.

뒷걸음질을 하지 않는 한,

 

발은

사람이 나아가는 방향이

어딘지

정확히

보여준다.

 

발이 마주 보는 곳이 앞이다.

정면(正面)이다.

몸을 비틀어도

고개를 돌리고 있어도

발을 보면 그 사람의 정면이

어딘지를

명확히 알 수가 있다.

 

바르다는 건 마주 보는 것이라고 한다.

곧고 밝은 것은

우리가 마주 보는 것이다.

굽고 어두운 것은

우리가 보지 못하는 것이다.

 

참 쉽다.

 

일부 학자들은

발 앞의 점을

마을을 표시한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한 마을을 향해

나아가는 것,

그 마을을 점령하는 모습이라는 주장이다.

맞서 싸우려 나아가는 게

바로 정(正)의 본래 뜻이라는 주장이다.

 

실제 바를 정(正)에는 정복(征服)의 뜻이 있었다.

훗날 정(正)은 바르다는 뜻으로

정(征)은 바르게 나아가다, 정복하다는 뜻으로

쓰였다고 한다.

 

결국 바르다는 것은

그렇게

정면으로 마주하는 것이다.

바르다는 것은

그렇게

정면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나아가 쟁취하는 것이다.

 

‘정의’(正義)는

나아가 지켜내야 하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