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의 친러 행보에 일대일로 타격 예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까지 중국은 일대일로(一帶一路, 중국과 중앙아시아 및 유럽을 연결하는 신 실크로드 전략 구상)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우크라이나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키이우(키예프) 지하철 건설, 흑해 연안 풍력발전 단지 건설 등 중국 기업이 지난 5년간 우크라이나에서 참여한 대형 투자 프로젝트만 30여 개에 달한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우크라이나가 중국-유럽의 가교 역할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중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대러 제재에 반대하고 러시아에 동조하는 입장을 취하면서 향후 우크라이나에서의 일대일로 추진이 불투명해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8일 중국 정부가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해 원론적이고 중립적인 태도로 일관하면서 우크라이나 정부와 국민들이 중국에 대해 신뢰할만한 경제 파트너인지 의문을 갖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싱크탱크 라줌코프센터는 "중국의 명목상 중립은 사실상 러시아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는 향후 일대일로 프로젝트에 대한 우크라이나 국내 여론의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또 "현재 전쟁으로 우크라이나의 수출이 차질을 빚고 있지만 향후 재개될 경우 우크라이나가 중국 말고 다른 시장을 찾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해 우크라이나의 대중 수출 규모는 약 80억 달러(약 9조8000억 원)로 주요 수출품은 옥수수, 해바라기씨유, 철광석 등이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