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칭송 받을 덕(德)

 

 

대로 양변을 가득 채운 군중이 환호를 한다.

왕정시대에는

왕의 행차가 그 사이를 걸었고

전쟁에 나가 승리한 군대가

나라에 큰 공을 세운 관료가

그 사이를 걸으며

대로 양변 가득한 군중의 환호를 받았다.

 

요즘도

건국기념일의 군 열병식이,

국제무대에서 공을 세운 운동선수의 퍼레이드가

가끔씩 열려

대로 양변 가득한 군중의 환호를 받는다.

환호와 함께 하늘에선

바람결에 종이꽃이 흩날린다.

 

군중의 환호는 군중의 칭찬이다.

온 나라의 칭찬이다.

바로 덕(德)이다. 덕은 별다른 게 아니다.

모두가 칭찬하는 일을 하는 게 덕이다.

 

공부를 잘한 학생이

선생의 칭찬을 듣고

효를 다한 자녀가

부모의 칭찬을 받는

그런 개인적인 칭찬이 아니라

 

모두의 마음을 사로잡는

그런 큰 칭찬이다.

모두를 이끌어가는 칭찬,

그게 바로 덕이다.

 

그래서 덕은 고대에 더욱 중요했다. 일찌감치 갑골문에서 등장한다.

갑골문의 덕은

사거리의 행(行)과 장식을 단 눈(目)의 결합이다.

어떤 이는

장식을 단 눈을 직(直)으로 보기도 한다.

 

 

 

금문에 오면서 마음 심(心)이 더해졌다.

그런 칭찬을 듣는 마음일까,

아니면 그런 칭찬이 사로잡는 군중의 마음일까.

사실 중요하지 않아 보인다.

마음 심(心)이 더해지면서 덕의 의미는

더욱 분명해진다.

그런 칭찬을 듣는 이의 마음이던

그런 칭찬에 감동한 이의 마음이던

 

덕의 의미는 더욱 분명해진다.

덕이란 사람의 행동에서 나와

사람의 마음에 닿아 이뤄진다는 것이다.

 

작은 칭찬은 듣기 쉽지만

큰 칭찬, 덕은 듣기 힘들다.

작은 칭찬들이 쌓이고 쌓여

쏟아지는 게 큰 칭찬이다.

그래서 덕은 듣는다 하지 않고

쌓는다 하는지 모른다.

 

참으로 힘든 게 바로 덕이다.

덕이 있고 없고는

내가 내세우는 게 아니고

거리의 군중들이 판단하는 때문이다.

 

그래서 본래 스스로 나서서

거리 퍼레이드, 유세를 하는 이들치고

정말로 덕이 있는 이 드물다.

정치인들이 덕이 없는 이유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것은 고래로 비슷한 모양이다.

 

그래서 노자가 항상 혀끝을 차며 한탄했다.

“上德不德,是以有德;下德不失德,是以无德。”

(상덕부덕,시이유덕이요, 하덕부실덕,시이무덕)

 

“높은 덕은 덕을 내세우지 않아 덕이 있고,

낮은 덕은 덕을 내세워 덕이 없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