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칭송 받을 덕(德)

 

 

대로 양변을 가득 채운 군중이 환호를 한다.

왕정시대에는

왕의 행차가 그 사이를 걸었고

전쟁에 나가 승리한 군대가

나라에 큰 공을 세운 관료가

그 사이를 걸으며

대로 양변 가득한 군중의 환호를 받았다.

 

요즘도

건국기념일의 군 열병식이,

국제무대에서 공을 세운 운동선수의 퍼레이드가

가끔씩 열려

대로 양변 가득한 군중의 환호를 받는다.

환호와 함께 하늘에선

바람결에 종이꽃이 흩날린다.

 

군중의 환호는 군중의 칭찬이다.

온 나라의 칭찬이다.

바로 덕(德)이다. 덕은 별다른 게 아니다.

모두가 칭찬하는 일을 하는 게 덕이다.

 

공부를 잘한 학생이

선생의 칭찬을 듣고

효를 다한 자녀가

부모의 칭찬을 받는

그런 개인적인 칭찬이 아니라

 

모두의 마음을 사로잡는

그런 큰 칭찬이다.

모두를 이끌어가는 칭찬,

그게 바로 덕이다.

 

그래서 덕은 고대에 더욱 중요했다. 일찌감치 갑골문에서 등장한다.

갑골문의 덕은

사거리의 행(行)과 장식을 단 눈(目)의 결합이다.

어떤 이는

장식을 단 눈을 직(直)으로 보기도 한다.

 

 

 

금문에 오면서 마음 심(心)이 더해졌다.

그런 칭찬을 듣는 마음일까,

아니면 그런 칭찬이 사로잡는 군중의 마음일까.

사실 중요하지 않아 보인다.

마음 심(心)이 더해지면서 덕의 의미는

더욱 분명해진다.

그런 칭찬을 듣는 이의 마음이던

그런 칭찬에 감동한 이의 마음이던

 

덕의 의미는 더욱 분명해진다.

덕이란 사람의 행동에서 나와

사람의 마음에 닿아 이뤄진다는 것이다.

 

작은 칭찬은 듣기 쉽지만

큰 칭찬, 덕은 듣기 힘들다.

작은 칭찬들이 쌓이고 쌓여

쏟아지는 게 큰 칭찬이다.

그래서 덕은 듣는다 하지 않고

쌓는다 하는지 모른다.

 

참으로 힘든 게 바로 덕이다.

덕이 있고 없고는

내가 내세우는 게 아니고

거리의 군중들이 판단하는 때문이다.

 

그래서 본래 스스로 나서서

거리 퍼레이드, 유세를 하는 이들치고

정말로 덕이 있는 이 드물다.

정치인들이 덕이 없는 이유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것은 고래로 비슷한 모양이다.

 

그래서 노자가 항상 혀끝을 차며 한탄했다.

“上德不德,是以有德;下德不失德,是以无德。”

(상덕부덕,시이유덕이요, 하덕부실덕,시이무덕)

 

“높은 덕은 덕을 내세우지 않아 덕이 있고,

낮은 덕은 덕을 내세워 덕이 없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