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각국 우려에도 불구하고 中, ‘제로 코로나’ 정책 유지 확인

 

중국 지도부가 '제로 코로나' 정책을 앞으로도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코로나 제로 상황 유지를 위해 국내 각 성간은 물론 대외 교류를 거의 봉쇄하고 있다. 이에 주변국에서는 무역장애 등을 우려해 중국 당국의 정책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상태다.

IMF 역시 같은 이유에서 중국의 코로나 제로정책에 대한 우려를 표시했었다.

장예쑤이(張業遂)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대변인은 전인대 13기 제5차 연례회의를 앞두고 4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제로 코로나 정책이 중국의 현재 상황에 부합하는 가장 효과적인 길이라는 것이 이미 입증됐다"고 말했다.

장 대변인은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 팬데믹 상황에서의 경제발전 등을 모두 고려했을 때 중국은 세계 주요국 가운데 방역에 가장 성공한 나라”라고 강조했다.

또한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일부 도시 봉쇄에 대해 “신속하고 전면적인 방역 조치를 통해 최소 비용으로 최대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2020년 초반 코로나19 팬데믹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강력한 방역 통제와 봉쇄를 핵심으로 하는 ‘제로 코로나’ 정책을 유지해오고 있다. 베이징 등 주요 도시의 경우 입국자에게 3주간 시설 격리를 의무화해 해외발 코로나19 유입을 막는 한편, 확진자가 발생한 지역을 봉쇄하고 전 주민을 대상으로 PCR(유전자 증폭) 검사를 실시해 감염자를 찾아내고 있다.

한편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유지는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는 코로나19 백신의 낮은 효능 때문에 불가피하다는 분석도 있다. 지난달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는 인구 이동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수준으로 회복될 경우 중국에선 1년 내에 약 2억3400만명의 감염자가 발생하고 그 중 약 200만 명이 사망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