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념(念), 마음 속에 항상 머물다

 

마음속에 뭔가가 떠나지 않는다. 뭔가 가슴에 남아 끊임없이 스스로를 괴롭히지는 않는가? 마치 가시처럼 찌르지 않는가?

념(念)이다.

념은 지금(今)의 마음(心)이다. 마음의 지금이다. 마음속에서 떠나지 않는 것이다.

마음속에 항상 ‘지금’처럼 머물고 떠나지 않는 것, 그것이 바로 념이다.

념은 그래서 집요하다.

집념(執念)이 그렇다. 사전적으로 념은 “한 가지 일에 매달려 마음을 쏟음. 또는 그 마음이나 생각”이라는 뜻이다.

념은 그래서 ‘읽다’는 뜻보다 ‘외우다’는 뜻이 강하다. 마음에 새긴다는 의미다.

념은 항상 내 마음에 지금처럼 머무는 것이다.

 

 

금(今)은 본래 그 의미가 심장한, 무서운 말이다.

본래 금은 짧을수록 편하다. 지금(只今)이란 말이 ‘방금’이라는 뜻인 이유다.

한자 금은 상형자다. 입에 물건을 물고 있는 모습이다.

입에 무엇인가를 물고 있으면 이를 악물게 된다.

이를 악물고 있는 것이 ‘지금’의 ‘금’이다.

이게 음식인지, 독인지는 아직 모른다. 삼켜야 아는 데 입에 물고만 있는 게 지금의 금이다. 바로 한 순간이라는 뜻이 그래서 나왔다.

 

 

그런 금이 마음에 닿아 있다.

그게 념이다. 마음에서 입 밖으로 나가야하는 것인지, 마음속에 그저 담아 둬야 하는 것인지 모르는 순간이다.

내뱉거나 마음 깊은 곳에 둔다면 차라리 편할 터인데 ….

그러지 못하는 게 사람의 마음이다.

그래서 사람에는 누구에게나 념이 있다.

상념(想念)이라는 말은 그래서 나왔다.

마음을 떠나지 않는 무엇인가가 있다. 어떤 이는 그 무엇인가가 아주 오래됐고, 누구에겐 가는 매일같이 새롭게 변하기도 한다.

어떤 념은 쉽게 입 밖으로 나가거나, 누구는 쉽게 그 념을 마음속 깊이 감추곤 한다.

 

념을 어떻게 하느냐에 마음의 평안이 달려 있다.

상념은 많을수록 마음이 혼란스럽지만, 한 두 개의 념은 사람이 한 길을 가도록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념을 어떻게 하느냐에 인생의 성패가 달려 있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