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중산층 4억 명 돌파, 전체 인구의 30% 차지

 

'4억 명' 

중국 당국이 보고 있는 중산층 숫자다. 중국인구의 대략 3분의 1가량이다.

중국은 30년전만해도 세계에서 가장 빈민이 많은 나라였다.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의 목표도 중국을 중산층의 국가로 만들겠다는 것이었다.

덩샤오잎의 선부론은 먼저 부자를 만들어 가난한 이들의 모범이 되도록 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부자들이 가난한 이들에게 부를 나누고 이끌어 중산층으로 만들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최근 시진핑 주석의 '공동부유'의 개념은 일찌감치 덩샤오핑의 가슴 속에 피어났던 것이다. 

다만 실행의 방식이 중앙의 강제적 방식이냐, 자발적인 방식을 유도하느냐에서 차이가 있어보인다.

어쨌든 중국은 각고의 노력 끝에 중산층의 국가가 됐다.

시 주석은 최근 당당히 "중국은 샤오캉 사회 건설에 성공했다"고 선언했다. 아쉬운 것은 그 것이 자평이라는 점이다. 

닝지저(寧吉哲) 국가통계국장은 닝지저(寧吉哲) 신임 기자회견에서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 성장성 있는 중위소득층을 보유하고 있다"며 "2017년 이미 중위소득층이 4억 명을 넘어섰다"고 설명했다.

중국에서 중산층은 전형적인 3인 가구의 연수입이 10만 위안에서 50만 위안 사이의 계층이다. 

한국으로 치면 연봉 1815만원~9078만원 사이다. 대략 연봉 2000만원에서 1억원 사이의 가정이다. 한국은 이를 좀더 세분하지만 대략 비슷하다.

현재 중국에서 이 계층에 속하는 인구 수는 4억 명, 1.4억 가구가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들 가정은 자동차 구입, 주택 구입, 여가 여행 능력이 있다.

가소비 여력이 있는 것이다. 그 소비는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안정적인 성장에 강력한 버팀목이 되었다고 한다고 중국은 보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중산층은 여전히 미국 등 서구 국가와 다르다. 오히려 한국이나 일본과 비슷해 보인다. 부담이 크다.

아시아 전통적 사고에서 가장은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한다. 자기는 쓰지도 못하고 모아 자녀들에게 물려줘 안정된 생활의 최저를 보장해야 한다는 의무감이 강한 것이다. 

이에 중국 내부에서는 주택대출·차량대출·의료·노후 등 스트레스에 대해 중산층이 '힘들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많기 때문인데, 중산층의 확대는 이런 우려를 없애고 사회 이동을 가속화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과연 중국은 그 것에 성공하고 새로운 선진사화의 모형을 만들 수 있을까?

시진핑 주석과 차기 지도부가 담당해야 할 몫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