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삼성, 애플 제치고 1분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 탈환

 

삼성전자 캘럭시는 세계 최대 판매량을 자랑하는 스마트폰이다. 미국의 애플 아성에 눌리고,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 브랜드들에게 호두깍기 식의 압박을 당하고 있지만 여전히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에서 '일류 삼성'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IDC가 올해 1분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순위를 15일 발표했다. Top 5 업체는 다음과 같다.

 

1위 삼성전자

2위 애플

3위 샤오미

4위 트랜션

5위 OPPO

 

1분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지난해와 거의 같은 6010만 대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20.8%를 차지했다.  지난 1월 말 출시된 갤럭시 S24 시리즈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2개 분기 만에 애플을 제치고 다시 1위에 올랐다.

애플은 1분기에 5010만 대를 출시해 시장 점유율이 전년 동기 20.7%에서 17.3%로 하락했다. 중국 시장 부진과 미국 정부의 반독점 소송 제기 등의 연이은 악재로 애플 주가는 올해 초부터 현재까지 8% 이상 내려간 상태다.

삼성전자와 애플의 시장 점유율 격차는 3.5%포인트로 작년 1분기(1.8%포인트) 대비 거의 두 배로 확대됐다. 애플의 1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은 작년 동기 대비 9.6% 감소해 삼성전자(-0.7%)보다 감소폭이 훨씬 컸다.

중국 샤오미의 1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33.8% 증가한 4080만 대로 시장점유율은 14.1%를 기록했다. 

트랜션과 OPPO는 각각 2850만 대(시장 점유율 9.9%), 2520만 대(8.7%)를 출하해 4~5위에 올랐다. 1분기에 트랜션의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84.9% 증가한 반면 OPPO의 출하량은 8.5% 감소했다.

한편 올해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2억 8940만 대로 작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