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경기 둔화 우려로 원-달러 완율 급등

원-달러 환율이 다시 급등해 1170원대에 다가섰다. 이는 중국 경기 둔화 우려감으로 인한 현상으로 풀이된다.

 

30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9.70원 오른 1168.2원으로 마감했다. 이는 2017년 1월 20일(1169원)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원화 약세는 중국 제조업 지수가 시장의 예상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고 이는 ‘글로벌 달러’가 강세를 보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이날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4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1을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50.4)와 전월치(50.5)를 모두 밑도는 수치였다. 이는 아직 경기가 확장세에 있음을 의미하지만, 전문가들의 예상치는 50.5로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밑도는 결과였다.

 

통상적으로 PMI가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 국면에, 이를 밑돌면 경기 위축 국면에 있음을 뜻한다.

 

중국 제조업 PMI 지수가 예상을 밑돌게 나오자 아시아 증시가 대부분 하락했다.

 

서비스업 지수 역시 54.3으로 시장의 예상보다 부진한 결과를 보였다. 중국 제조업 업황의 또다른 지표인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도 50.2로 시장 예상치(50.9)를 하회해 나타났다. 이에 중국 경기가 더욱 둔화할 것이란 우려가 퍼져 위안화의 약세가 나타났고, 동일한 방향으로 경향이 높은 원화도 약세를 보였다.

 

반면 미국의 경제지표는 3월 개인소비지출(PCE)이 한 달 전보다 0.9% 증가하는 호조를 보였다. 이에 달러 가치는 유로, 엔, 위안 등 주요 통화에 대해 강세를 나타나면서 원화 약세를 더욱 부추긴 것으로 분석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