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공업 산업, 생산량 세계 최대 규모...'환경 개선 필요성도 제고'

중국 공업 산업이 생산량 기준으로 세계 최대로 이름 올렸다.

 

중국의 공업 부가가치 규모는 개혁개방 이후 40년 간 연평균 14.1%씩 증가하면서 2017년 약 28조 위안을 기록하며 생산량 기준으로 세계 최대 공업국으로 이름 올렸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2002년 WTO 가입 이후 공업부문이 빠르게 성장하며 수출과 연계돼 경제성장에 중요한 동력으로 자리매김했다.

 

중국의 공업 발전과정은 시장화 개혁을 기준으로 ▲시장경제 방향 탐색 ▲시장경제 구축 ▲시장경제 건설의 신시대 등 총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시장경제 방향 탐색 시기 때, 시장경제 도입을 위한 제도 마련과 공업 기반시설 구축 등을 추진한 공업 발전 초기단계로 생산성을 빠르게 개선한 바 있다.

 

시장경제 구축 시기는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도입하고 국유기업 중심의 경제구조 조정 및 시장화 촉진시켜 빠른 경제 성장세를 보였다.

 

이후 시장경제 건설의 신시대 단계는 성장속도 둔화로 인해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이 제시되는 단계로 질적 발전의 필요성이 제기돼 ‘혼합 소유제’개혁으로 민영경제가 활성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중국 공업은 원자재, 백색가전, 하이테크 제품 등 제품 생산능력이 크게 향상됐고, R&D 투자가 확대되며 혁신 역량도 빠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월드뱅크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중국 제조업 규모는 미국의 1.3배, 일본의 4.2배, 그리고 독일의 4.8배를 자랑했다. 2017년 중국은 세계 제조업 생산의 약 35%를 차지했으며 2004부터 2016년까지 중국의 연구개발 투자 기업, 인력 및 지출 등이 약 3.5배 이상 늘어났고, 특허 신청수도 매년 22.2%씩 증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중국의 총요소생산성은 크게 향상됐으나, 여전히 미국 등 공업 선진국에 비해서 낮은 수준으로 지속적인 생산 효율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지적됐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관계자는 “중국은 자국 소비자 수요에 적합한 고급소비재를 생산하지 못하고, 철강, 석탄 등 생산재 공급 과잉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 중”이라며 “환경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오염물 배출은 감소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중국은 염가 노동력과 지가, 자본유치 비용이 모두 상승하면서, 중장기적으로 산업경쟁력 약화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인해 무역환경이 악화된 상황”이라며 “중국은 ▲자주혁신 강화 ▲산업구조 고도화 지속 ▲대외개방 확대 ▲투자환경 개선을 통해 지속가능한 공업성장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