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18년 中 농촌시장 온라인 소매금액 1조 3,700억 위안

 21일, 상무부로부터 입수한 정보에 따르면, 2018년 중국 농촌시장의 온라인 소매금액은 동기대비 30.4% 증가한 1조 3,700억 위안, 전국의 농산품 온라인 소매금액은 동기대비 33.8% 증가한 2,305억 위안으로서 농촌의 전자상거래가 급성장했다.  

 

 전자상거래는 이미 빈곤퇴치 공격전의 중요한 수단으로 되었다. 가오펑(高峰) 상무부 대변인은 당일의 정례 기자회견에서 상무부 주도 하에, 29개 업체가 참여해 설립된 중국전자상거래빈곤구제연맹은 351개 빈곤현에 도움을 주었고 기업이 나서 빈곤지역 농산품이 ‘3품1표(三品一標)’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추동했으며 브랜드화·표준화 수준의 제고를 통해 농산품의 시장진입 촉진에 새로운 진전을 가져왔다고 말했다.  

 

 아는 바에 의하면, 상무부의 전자상거래 빈곤구제 업무는 전면적으로 추진되었고 2018년, 전자상거래 농촌시장 진출 종합시범에 새로 추가된 국가급 빈곤현은 238개, 커버리지율이 88.6%에 달했다.   농촌시장 온라인 소매가 활발해 진 것은 2018년 온라인 소매 산업의 특징 중 하나이다. 2018년 중국의 온라인 소매금액은 9조 위안 돌파했다.

 

 그중, 실물상품의 온라인 소매금액은 동기대비 25.4% 증가한 7조 위안이었고 사회소비품 소매총금액 성장에 대한 기여도는 전년대비 7.3%포인트 상승한 45.2%에 달했다.  

 

 2018년 중국의 온라인 소매시장은 또한, 품질이 계속 제고되고 소비 업그레이드가 끊임없이 심화되는 특징을 보였다. 비즈니스 빅데이터 모니터링에 따르면, 스마트 시계, 스마트 음향·영상, 통역기 등 스마트한 제품이 소비자들의 선호를 받아 동기대비 매출 성장률이 80% 초과했고 화장품, 양식·식용유·식품과 가구 등 품목의 성장률은 각각 36.2%, 33.8%와 30.1%에 달했다.  

 

 가오펑 대변인의 소개에 따르면, SNS 전자상거래가 신속히 성장해 시장 발전의 ‘활력소’로 되었다. 연구기관의 데이터에서, 중국 SNS 전자상거래의 월간 액티브 유저는 1억 7천만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온라인 요식업의 시장규모는 동기대비 45% 증가했고 생활 서비스 전자상거래 업체의 질이 업그레이드 되었다. ‘실크로드 전자상거래’ 협력이 끊임없이 심화되었고 중국과 캄보디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오스트리아 등 국가의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금액은 동기대비 100% 이상 신장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