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도원의 운치'가 서린 무계정사의 자취…새로운 문화체험의 장으로 ㅡ 무계원


 

무계원 전경. 무계원은 종로구 익선동에 있던 유서 깊은 한옥인 오진암(梧珍庵)을 옮겨 와 2014년에 문을 열였다. ⓒ종로문화재단

 


“한양 북문(창의문彰義門)을 벗어나 우거진 소나무 숲길을 2리쯤 가다가…안평대군(安平大君)의 정사(精舍)가 있다…풀과 나무는 무성하고 연기와 구름은 그윽한 듯도 하여 완전히 도원동의 기이한 운치가 있다.” 조선조 학자 이개(李塏)는 안평이 지은 이 정사(무계정사武溪精舍)를 예찬했다.

안평대군 이용 집터(安平大君李瑢家址) 또는 무계정사지(武溪精舍址)는 조선 세종 29(1447, 추정)에 만들어진 세종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의 별장 터이다. 안평은 당대의 명필이자 시와 문장에 능한 학자이자 예술가적 기질이 충만한 왕자였다. 꿈속에 거닌 무릉도원을 화가 안견에게 그리게 하여 탄생한 ‘몽유도원도’ 또한 그의 업적이다. 지금 이 터에는 안평의 글씨로 추정되는 바위에 적인 무계동(武溪洞)이란 글씨만이 남아있다...

 

무계원 위쪽 30여 그루의 솔밭 위에 있는 한옥이 바로 안평대군의 무계정사 터. 뒤편 바위에 ‘무계동’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유형문화재 제22호) ⓒNAVER

 

이 부근 서울 부암동 자락 한 켠, 안평의 기운이 느껴지는 작은 집터에 ‘무계(武溪)’라는 이름을 단 고옥이 한 채 서있다. 안평의 정사 터와 같은 곳은 아니지만 ‘무계원(武溪園)’이란 이름의 이 건물은, 과거 서울 익선동에 있던 한옥 오진암(梧珍庵)의 자재를 가져와 지었다. 그 곳이 바로 2014 3월 문을 연 무계원이다. 북촌과 서촌은 물론 외국인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한옥의 맵시가 그대로 재현된 공간인 ‘무계원’은 이제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전통 문화 전승과 체험의 현장이 되고 있다. 이 여름, 누구라도 조선의 왕자가 꿈꾸던 도원의 자취를 따라 새로운 문화 유람을 시도해 보자. 


필자 이미지


(무계원 : +82-2-379-7131~2 / 종로문화재단 +82-2-6203-1162 / www.jfac.or.kr)

무계원의 안채 ⓒ종로문화재단 

'외국인 종로통신사' 행사에서 한복을 입은 주한 대사관 직원 가족들이 전통다례체험 ⓒ종로문화재단 

전통 복색의 문화를 배우는 '한복 곱게 차려입고' 프로그램 ⓒ종로문화재단 

'추석맞이 춤n판' 프로그램 ⓒ종로문화재단 

무계원 기획 프로그램 '풍류산방ⓒ종로문화재단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