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하필 마음 심 心을 빼다니 … 애 愛2

중국 간자는 단순화되서 편한 것도 있지만, 아쉬운 것도 많다. 사랑 애가 그렇다. 간체의 사랑에는 마음 심이 빠졌다. 마음 없는 사랑이라니 …. 참 그렇다.


 © paulgarciaph, 출처 Unsplash

 

한자를 만든 동양의 선인들은 참 순수했다. 매번 키스를 하고, "I love you"를 달고 사는 서양보다 그 달콤함은 좀 떨어질지 몰라도 마음의 따뜻한만은 더 넘쳤다. 오죽했으면 사랑을 "상대방의 마음을 따뜻하도록 '호' 불어주는 것"이라 풀이했을까? 아무리 다시 봐도 정말 멋진 해석이다. 
시경에서 노래한 사랑도 참 투박하다.  

 

死生契闊, 與子成說. 執子之手, 與子偕老
"사생계활, 어자상설, 집자지수, 어자해로"
죽음과 삶 그 모든 고난도, 그대와 함께 있어 행복하네.그대 손을 잡고, 그대와 함께 늙어 가네

마치 "사랑이 별 거 있어. 둘이 아끼고 살아가면 되지"하는 시골 어른들의 말을 듣는 듯 싶다. 여기에 발, 행동이 들어간 게 사랑이다. 사랑은 진정한 위(爲) 함을 실천하는 것이다. 위한 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는 이미 갑골자 위를 통해 살펴봤다. 사랑의 애뜻함은 말을 못하는 데 있다. 
먼 길 떠나는 남편을 문 뒤에서 배웅하는 아내의 모습은 대표적인 동양 부부애의 표현이다. 멀리서 돌아온 남편 앞에서 마음껏 기뻐하지 못하는게 우리 옛 여인들의 사랑이었다. 송대 여류시인 이청조(李淸照·1081∼1141 추정)의 시가 이 마음을 잘 그렸다. 

 

此情無計可消除, 才下眉頭,却上心頭
아 지워지지 않는 이 정을 어쩔까. 
고개를 숙이니 그리움만 쌓이네.

중국 제일의 여류시인이라는 이청조가 18세에 만나 결혼한 남편 조명성(趙明誠)은 금석학에 관심이 많아 자주 천하를 유람하며 글을 수집했다고 한다. 어찌 이런 여인을 떠날 수 있었는지 ….
같은 송대 낭만적인 너무나 낭만적인 시인 유영(柳永984~1053)의 님 향한 그리움을 노래한 싯구는 지금도 듣는 사람의 심금을 흔든다. 상사병에 최췌해지는 여인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衣帶漸寬終不悔
점점 허리가 줄어 허리띠가 남아도 후회하지 않으리.

이 구절은 청나라 말기 국학대사인 정안(靜安) 왕국유(王國維;1877~1927)가 인생의 삼경계로 인용해 더욱 유명해졌다. 왕국유는 사랑의 실천(行)으로 이 시를 꼽았다. 참고로 왕국유의 꼽은 득의 경지는 남송시대 신기질(辛棄疾;1140~1207)의 "사람들 속에 그대 찾기를 수천,수백번. 문득 고개 돌린 그 곳, 등불 환하게 비추고 그대 거기 서있네." (衆裏尋他千百度 驀然回首, 那人卻在 燈花闌珊) 한 구절을 꼽았다. 
어쨌든 독일의 젊은 베르테르의 격정 넘치는 사랑, 정욕의 사랑과는 또 다른 맛이 있는 게

우리 동양의 사랑이다. 

 

情多無語, 水深無聲
"정다무어, 수심무성"
정이 많으면 말이 없고, 물이 깊으면 소리가 없다

바로 동양의 생각이다. 그만큼 마음보다 행동이 중요하다는 의미도 있다. 다만 한가지 유감스러운 게 간자체의 사랑 애 애爱다. 아래 마음 심자와 발을 합쳐 벗 우로 대체했다. 그래도 중요한 게 마음인 데, 아쉽다.  

© the_sockateur7, 출처 Unsplash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