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번은 뒤짚어도 보라. 차 車 1

 

가끔 한번은 사물을 뒤짚어 볼 필요가 있다. 평소 당연했던 게 달라져 보일 때가 많다. 의외로 새로운 것을 배울 수도 있다.

© Emslichter, 출처 Pixabay 

 

한자 차 車에 무슨 현묘함이 있을까?
처음부터 너무 쉽게 추상화돼 지금도 바뀌지 않고 쓰이는 한자가 바로 차 자다. 그래서 뜻도 깨끗 명료 단순하다. 참 쉽다. 마차, 요즘은 자전거, 오토바이, 자동차 등도 다 포괄해 소위 탈 것이라는 의미다.
그런데 이 단순한 차 자도 갑골자를 보다 보면 무릎을 치게 되는 현묘함이 있다.

말을 뺀 마차의 모습을 그대로 옮겼다. 바퀴를 작대기 하나로 표현하고 사람이 앉는 부분을 네모 상자에

십자를 더해 표현했다. 
재미있는 것은 초기 갑골문에서는 바로 선 이 마차가 금문으로 넘어가며서 거꾸로 서있다는 점이다. 차 자는 앞으로 가는 마차 모양이 아니다. 옆으로 가는 모습, 혹은 마차를 세워놓은 모양이다.  

  

 

  

 

 

 

왜 선인들은 달리는 마차로 바로 글자를 표현하지 않았을까? 단순한 이유는 글자를 써보면 안다. 현재 모양의 글자가 쓰기가 편하다. 옆으로 눕히면 글자를 쓰기 힘들어진다.   

비교할 글자로 주 州 자가 있다. 하늘에서 커다란 강물이 흐르고 그 사이 퇴적된 토양을 보인다. 이 자를 눕혀서 표현했을 수도 있었겠지만, 선인들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그럼 왜 차 자만 글자를 만들면서 모양을 바꿨을까?

그냥 쓰기가 편하다는 이유가 다일까? 그럴수도 있다. 하지만 마차를 세워 놓은 모양이 되면서 의미가 달라지는 게 있다. 달리는 마차를 표현한 게 아니라 쉬는 마차를 표현한 것이다. 그러고 보니 마차에 동력인 말이 표현되지 않았다. 사실 차는 말이 아니라 다른 동물, 심지어 사람이 끌수도 있다. 그래서 지금 내연기관으로 움직이는 자동차까지도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

정말 어떻게 이렇게 차의 특성만을 정확히 뽑아냈나 감탄하게 된다. 그런 글자가 바로 차 車 자다. 
그런데 돌이켜 보면, 이렇게 정교한 추상이 가능했던 이유는 하나다. 바로 마차를 세워 놓고 볼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움직이는 마차가 아니라 말과 분리해 쉬는 마차를 표현했기 때문이다.

사물을 가끔은 삐딱하게 볼 필요가 있다. 마차 車 자가 알려주는 한자 창제의 한 비법이다.  

© johnygoerend, 출처 Unsplash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