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 밥 그릇 먹을 동 同

和而不同
화이부동

많은 사람이 좋아하지만, 그 진정한 뜻을 쉽게 설명할 이는 많지 않다. 
화와 동의 개념이 모호하기 때문이다. 군자는 화요, 소인배는 동이라고 했다. 화는 그래서 같이 어울리지만, 동은 그래서 같이 있다 싸운다고 했다.
거 참????!!! 뭐지 싶다.
이미 화는 살며 봤다. 왜 화목한지도 안다. 그럼 동은 무엇일까? 


 

갑골자 동은 사다리 같은 모양 아래 입 구(口) 자가 있는 자형이다. 이 사다리 모양에 해석이 많다.
우선 이 사다리 모양을 범선의 범(凡) 자의 원형으로 보는 학자들이 있다. 본래 배에 돛인데, 무릇 혹은 대중이라는 뜻으로 쓰이면서 본래 뜻을 살리는 범(帆) 자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중국 학자들은 이에 네 개의 손잡이가 달린 기구라고 설명한다. 농사 때 땅을 고르는 기구이고 네 명이 일을 하기 때문에 무릇 범이 됐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을 하는 학자들은 돛 범자에서 범은 발음부호 역할을 할 뿐이라고 본다.

이제 개인적으로 가장 점수를 주는 게 중국 왕샹즈王祥之의 견해다. 왕샹즈는 중국 50대 서예가 한 명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정통학자는 아니지만, 서예를 통해 문자학에 조예가 있다. 
왕은 이 사다리를 그릇이라 본다. 같은 그릇의 음식을 먹는다는 의미가 같을 동이라는 것이다. 모양으로 봐서 전혀 엉뚱한 해석이 아니다. 또 입 구 모양에 대한 해석이 같이 들어가  더 그럴듯해 보인다. 개인적으로 화和자에 대응하는 동同으로 더 어울린다고 본다. 한 그릇의 밥을 먹는 것을 동이라 한 것이다.

화는 그릇을 탐하지 않고, 그 안에 먹을 것을 나누는 것이지만, 동은 밥이 담긴 내 그릇을 나누는 것이다. 간단한 생각이지만, 이제 왜 화는 화목하고, 동은 싸우는지 알게 된다. 어느 동물도 한 그릇에 밥을 주면 서로 싸운다. 조금이라도 더 먹기 위해서다.

군자도 소인배도 다 이익을 추구하지만, 왜 그 결과가 다르다고 하는지도 분명해진다. 
소인배들은 무리 져 한 그릇에 음식을 담아오지만, 결국 먹다 보면 싸우고, 군자는 밥을 얻어와 다른 사람의 그릇에 나눠주니 화목하고 더욱 협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사업을 하다 보면, 가장 쉽게 하는 게 남의 밥그릇을 뺏는 것이다. 그럼 레드오션이 된다.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이 서로 생태계를 만들고, 생태계를 키우면 서로 협력하는 좋은 파트너가 된다. 그럼 블루오션이다. 세상에 사람들이 모르는 블루오션은 정말 드물다. 하지만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이 만들면 만들어지는 게 블루오션이다. 
'화이부동'은 블루오션을 만드는 비법이다. 

© sotti, 출처 Unsplash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中취안저우,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객 유치 위한 투 트랙 전략 추진
중국 남동부 푸젠성에 위치한 취안저우(泉州)는 지난 202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역사도시다. 송나라, 원나라 시대 중국의 세계 해양무역 중심지였다. 푸젠성은 타이완을 마주 보고 있는 대륙 지역으로 중국에서 해양 산업이 가장 발전한 곳이기도 하다. 취안저우는 이 푸젠성에서 독특한 문화유산을 보유해 푸젠성 3대 도시 중 하나로 꼽힌다. 2일 푸젠성 문화유산국에 따르면 취안저우는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산업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더욱 적극적인 문화유산 보호와 복원을 위해 관련 법과 규정을 제정하고 전문가를 채용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 문화유산 보호를 강화하는 동시에 관광산업 증대를 위해 중국내는 물론 해외 관광객 대상의 다양한 홍보 정책을 추진했다. 푸젠성 최초의 도시 커뮤니케이션 센터를 설립하여 언론 매체와 SNS 플랫폼에서 관광 상품을 홍보하는 등 관광 활성화를 위해 온오프라인 관광 마케팅을 펼쳤다. 특히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과 함께 생활하고 교류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유적지의 대부분을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급증하는 관광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