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최소 생산 단위 집 가 家 5.

이 세상에서 이 세상의 나를 가장 오래 기억해 주는 이들이 가족이다.
© soulsaperture, 출처 Unsplash

중국 속담에 "가추부능외양"(家醜不能外揚; 가족 내 부끄러운 일이나 잘못은 밖에 알리지 않는다.)했다. 우리 속담에도 "팔은 안으로 굽는다"라고 했다. 가족이어서 그런 것이다. 내가 그동안 어떻게 행동해왔는지,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가장 잘 아는 이들이 내 가족이기에게 가족이라면 그래야 하는 것이다.
가족은 내가 가장 오래 기억하는 이들이다. 반대로 나를 가장 오래 기억해주는 이들이기도 하다. 

내가 이 세상을 다녀간 그 이유 
나 가고 기억하는 이
나 슬픔까지도 사랑했다 말해주길

조수미 씨의 고운 목소리로 부른 명성황후 ost의 가사다. 이 세상을 살다 가는 수많은 이들 가운데 타자에게 기억되는 이 몇이나 될까? 또 시대를 넘어 기억되는 이 몇이나 될까? 이 문제는 한 사람의 존재 가치에 대한 근본적 질문이기도 하다. 과연 왜 살다 가는가? 최소한 누가 나를 기억해주는가?
동양에서는 이 노래의 질문에 대한 답을 가족으로 풀어낸다.  

어머니, 아버지, 님들이 살다간 이유 제가 기억합니다.
낳으며, 키우며 보여주신 그 정을 제가 기억합니다. 제 아들이 기억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자손이 기억하도록 하겠습니다.

중국의 90년대 대표적인 작가인 류신우(劉心武)의 장편소설 '종고루'에는 효심 깊은 시골처녀 싱얼(杏爾)이 작고한 부친의 지기를 베이징에서 만나 함께 머물며 자주 자기 부친과의 옛일을 묻고 듣는 장면이 나온다. 싱얼은 부친의 친구를 '다예'(大爷;큰 아버지)라 부른다, 싱얼의 부친은 친구와 함께 항일전쟁에 참여했고, 공산혁명에도 참여했다. 
둘은 또 나무 가구 공장에서 함께 일하기도 했다. 싱얼의 큰아버지는 공장에서 함께 일하며 싱얼의 부친이 손재주가 자신보다 못했지만 고집은 있어 한번 만들면 밤을 새워서라도 제품을 완성했다고 전할 때 싱얼은 마침 야채를 데치는 요리 중이었는데, 이야기에 빠져 제때 데치지 못하곤 한다. 
그때 작가 류신우는 "싱얼의 가슴은 왠지 모르게 푸근해진다"라고 작가는 썼다. 동양의 가족이 마음으로 이어가는 게 바로 이것이다. 뿌듯함, 포근함 아직 과학적 명칭을 얻지 못해 이름이 없을 뿐이다.
여기서 동양의 인륜과 천륜의 개념이 나온다. 천륜은 핏줄로 이어지는 것이다.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다. 내가 원해서 아니라 하늘이 점지해줘서 맺은 인연이다. 인륜은 부부간의 관계다. 불교에서 이야기하듯 역시 하늘의 수만 겁에 걸친 인연이 이어졌는지는 몰라도 당대 사람과 사람이 합의해 정한 것이다.
천륜의 즐거움은 하늘이 내린 것이다. 그래서 자식이 부모를 더 오래 기억해야 하는 게 천명이다. 그 천륜이 어긋나 자식을 먼저 보내면, 단장(斷腸)의 고통이 온다. 어숙권(魚叔權)이 쓴 '패관잡기'(稗官雜記)에는 영의정 김전(金銓)이 쓴 아들을 위한 제문이 나온다. "지난해엔 네가 아들을 잃더니만, 금년엔 내가 너를 잃었다. 부자의 정을 네가 먼저 알았구나. 상향"(去年汝喪子, 今年吾喪汝. 父子之情, 汝先知之. 尙饗) 어숙권은 이 제문을 소개하며 "단 두 마디지만 말로 못한 그 고통이 느껴진다"라고 했다. 더 이상 말이 필요가 없다.
가족은 사회 속 사람의 시작과 끝이다. 가족은 사회 속에 사람을 공급하는 유일한 단위다. 사람은 가족에서 만들어져 자기의 가족을 만들어 그 속에 사라지고 기억돼 간다. 한 사람을 가장 오래 기억하는 사회 단위다. 그래서 애틋하다. 

© gianviphotos, 출처 Unsplash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