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최소 생산 단위 집 가 家 3.


© lumapienteml, 출처 Unsplash

가족이 경제 사회의 최소 단위라는 것은 묘하게 서양의 사고와 닮아있다. 영어 'Family'의 어원을 따져 보면, 그 이유를 안다. 묘하게 인류 각 언어들은 그 어원, 근본적 의미에서 상통하는 면이 있다. 
영어 Family는 원래 하인이나 노예를 뜻하는 famulus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이후 한 집안을 의미하는 라틴어 familia, 중세 영어 familie를 거쳐 지금의 Family가 됐다는 것이다. 돼지와 노예라니, 묘한 공통점이 느껴진다. 모두 재력, 생산력의 기본을 의미하는 것이다. 가족은 그렇게 한 생산 단위로 부양되는 한 무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 집에 살면서 생산한 것을 함께 나누는 단위가 바로 집의 개념인 것이다. 
자연스럽게 족(族)이란 한자에 왜 화살이 포함돼 있는지 알게 된다. 생산된 물건을 같이 지키는 이들이라는 의미다. 먹을 것을 같이 만들고, 지키는 무리가 바로 가족인 것이다.
가족은 혈연만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남과 남이 만나 자식을 낳아 한 가족 단위를 이룬다. 그 가족은 함께 먹을 만들고, 생존을 위해 서로 무한하게 의지한다. 가족이어서 무한한 사랑이 가능하고, 무한한 책임이 가능하고, 무한한 권한도 가능한 것이다.
가족이 함께 먹을 것을 만들고, 지키는 의무와 권한은 자연스럽게 국가의 그것과 밀접하게 맞물리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주목되는 보고서가 하나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김희삼 연구원의 '노후보장을 위한 가족,  정부, 사회의 역할'이란 분석 보고서(2015. 4.)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사회 구성원의 부양 책임이 과거 전통사회의 가족에서 사회, 정부로 이관되고 있다는 사실이 수치상 분명히 증명된다. 
이에 혹자는 미래 가족이란 개념이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공상과학 영화에서 인간은 더 이상 아이를 낳지 않는다. 사회의 한 기능이 아이를 배아하고, 인큐베이팅 한다. 또 다른 기능은 그 아이를 기르고 교육해 사회 한 구성원으로 만든다. 
과연 그런 사회가 올까? 
그 사회가 온다면 그전 세대를 살고 있는 내가 행운아다 싶다. 누군가에게 무한한 책임을 느낀다는 게 행복하다는 것, 아이를 갖고 나서 알게 된 느낌이다. 아이를 위해, 아내를 위해, 가족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다는 게 그저 행복하다. 본 필자만의 생각일까? 모를 일이다. 

© Chen YiZhou, 출처 OGQ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中취안저우,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객 유치 위한 투 트랙 전략 추진
중국 남동부 푸젠성에 위치한 취안저우(泉州)는 지난 202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역사도시다. 송나라, 원나라 시대 중국의 세계 해양무역 중심지였다. 푸젠성은 타이완을 마주 보고 있는 대륙 지역으로 중국에서 해양 산업이 가장 발전한 곳이기도 하다. 취안저우는 이 푸젠성에서 독특한 문화유산을 보유해 푸젠성 3대 도시 중 하나로 꼽힌다. 2일 푸젠성 문화유산국에 따르면 취안저우는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산업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더욱 적극적인 문화유산 보호와 복원을 위해 관련 법과 규정을 제정하고 전문가를 채용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 문화유산 보호를 강화하는 동시에 관광산업 증대를 위해 중국내는 물론 해외 관광객 대상의 다양한 홍보 정책을 추진했다. 푸젠성 최초의 도시 커뮤니케이션 센터를 설립하여 언론 매체와 SNS 플랫폼에서 관광 상품을 홍보하는 등 관광 활성화를 위해 온오프라인 관광 마케팅을 펼쳤다. 특히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과 함께 생활하고 교류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유적지의 대부분을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급증하는 관광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