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손을 더해 주는 게 친구다. 友 1

친구가 뭘까? 한자적 의미는 정말 단순 명쾌하다. 힘 쓰는 오른 손을 보태주는 것이다. 내 손을 잡아주는 것이다.

© geralt, 출처 Pixabay

벗, 참 예쁜 우리 말이다.
그게 꼭 우리 말이어서만이 아닐 것이다. 영어도 친구를 버디(Buddy)라고 하는 데 뭔가 발음상 친구의 가까움을 보여주는 인연이 있는 듯 싶다. 
표음문자들은 가장 기본적 발음의 정감에서 닮은 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세상에 나와 처음 접하는 가족, 엄마에 대한 호칭에는 '으므' 라는 가장 기본적인 입 모양과 모음이 들어가 있다. 엄마, 모(母), mutter, mother 등이 그 예다. 
그래서인지 우리 말 벗이 그 어원을 따지면 인도에서 왔다고 하는 주장도 있다. 우리의 벗의 옛 발음은 '벋 '데 인도의 물을 뜻하는 고어가 벋, - 현대어의 발음을 찾아보니 '빠니'라 한다 -이고 이 인도어는 유럽으로 건너가 몸을 의미하는 바디(Body), 친구를 의미하는 버디(Buddy) 등으로 발전했다는 것이다. 물 같은 게 친구라는 의미여서 그렇다고 한다. 
그럴 듯 해 보인다. 또 벋은 '벋어나가다'의 의미로 친구란 사교의 의미가 담겨있다는 주장도 있다.
그래도 '친구란 무엇인가?'하는 근본적 질문의 답으로는 좀 부족해 보인다.
의미에서는 역시 한자다. 한자의 벗 우 友는 어렵게만 보이는 질문에 참 명쾌한 답을 준다. 갑골문자에서 벗은 오른 손 두개로 표현돼 있다.  

갑골문자의 벗 우는 같은 방향으로 같은 손을 내민 것이다. 
이 손은 '악수할 수 있는' 손을 의미한다. 같은 방향으로 내민 오른 손들은 마주 보고 있을 때는 악수를 할 수 있다. 친구란 같은 방향으로 같은 손을 내밀고, 서로 마주보고 있을 때는 악수를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친구에 대해 이처럼 간결하게 정의할 수 있는 이가 몇이나 될까?
친구란 맞설 수도 있지만 악수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궁극적으로는 같은 방향에서 같은 일을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손으로 표시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 생각해봤다. 그런데 왼손과 오른손을 한 사람의 손이지 두 사람의 손이 아니다. 즉 '나'와 '너'가 아니라 '나'와 '나'인 것이다. 
역시 묘하다. 서로 다른 손을 표시하면 오히려 한 사람을 표시하게 되고, 같은 손을 표시하면 분명히 다른 두 사람을 표시하게 된다. 친구는 내가 아니다. 분명히 나와 다른 '너'가 있어야 하고, '너'만이 내 친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혹자는 이쯤에서 논어의 유명한 구절을 떠올 수도 있다.  

和而不同
hé ér bú tóng
같음이 아니라 조화로움

맞다. 친구는 조화를 이루는 대상이지, 나와 같은 또 다른 '내'가 아닌 것이다. 다시 한번 한자의 단순함 속의 오묘함에 고개를 숙인다.
 

© von_co, 출처 Unsplash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