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삶과 생각 중심이자, 근원 … 마음 심 心 1

그것을 봤다는 것은 누군가 죽었다는 것이다. 아니면 어쩜 이렇게 똑같을까. 분명히 봤다는 것이다. 누굴까. 누가 죽어 처음으로 자신의 심장을 남에게 보여줬을까….”  

 

 


 

 

마음 심(心) 자를 보면 섬뜩한 전율이 인다. 산 사람의 심장은 지금도 보기 힘들다. 분명히 죽어야 보여주는 게 심장이다. 마음이다.
그런 심장을 정말 너무 단순히, 너무 정확히 표현을 했다. 마음 심 心의 이야기다. 모양을 본 딴 상형자다. 심실, 심방 구조를 정확히 표현했다. 참 선인들의 인간에 대한 이해가 간단치 않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인문학적 생태만 본 게 아니라 해부학적 요소까지 담겨 있는 게 한자다.

 

 

 


 

 

심장은 사람 생명의 근원이요, 중심이다. 갑골자를 만든 선조들은 일찌감치 그것을 알았다. 
사실 사람을 상징한 신체 구조는 많다. 예컨대 스스로 자 自는 코 모양이다. 코는 내 얼굴을 남과 구분해주는 중심이다. 그 코가 남과 구분해 스스로를 보여준다고 생각해 '스스로'라는 의미를 갖게 된 것이다. 
성기도 생명의 근원이다. 그러나 그것은 나로 인한 새로운 생명의 근원이지, 내 생명의 근원은 아니다. 그래 없어도 사는 신체 기구다. 하지만 심장은 없으면 누구도 살 수 없다. 물론 머리도 그렇다. 다만 심장이 보다 직접적이고 치명적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심장만 한 신체적 요소가 없다.
그런데 해부를 해보지 않았다면 선조들은 어떻게 심장이 사람 생명의 근원이요, 중심인 것을 알았을까? 갑골문의 대가 시라카와 시즈카 교수는 마음 심을 과거 사람을 제물로 받쳤던 시대의 산물로 보기도 한다. 죽은 자의 마음을 보거나 받치려는 의례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사실 그런 이유가 아니라면 사람에게서 심장을 도려내 볼 이유를 찾기 힘들다.
시즈카 교수의 해석에선 해부학적 요소에 자연스럽게 인문학적 요소가 더해진다. 
심장은 사람이 살아 있도록 하는 것이고, 사람이 살아 있다는 것은 생각을 한다는 의미다. 즉 마음은 모든 생각의 근원인 것이다. 
생각 사 思 자의 모양에서도 갑골문을 만든 선조들의 의도를 읽을 수 있다. 많은 연구가들은 마음 위에 있는 것이 밭 전(田) 자가 아니라 신생아 머리에 있는 숨골이라고 본다. 思 자는 생각이란 마음에서 숨골 사이에 있다는 것을 부호화 한 것이다.
思 자는 갑골문과 금문은 없고, 소전체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心 자가 마음이란 뜻 외 생각이라는 뜻으로 자주 쓰이면서 생각이라는 뜻을 보다 정확히 구분해 내기 위해 만들어진 자가 바로 생각 사 思 자일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시즈카 교수의 분석에 따르면 초기 갑골문에서는 마음 심 心 자를 포함한 한자가 드물지만, 이후 점차 크게 늘어난다는 것이다. 마음, 그게 사람이 성장할수록 생활이 번잡해질수록 따라 복잡해지는 모양이다.
그럼 왜 마음을 보고자 했을까? 문뜩 참 진 眞 자가 생각난다. 참 진은 시체를 의미하는 자다. 사람은 죽어야 그 뜻이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참되다는 뜻이 됐다. 죽은 자의 심장을 보는 것, 참된 마음을 보고자 한 것이다.
그럼 마음이 무엇인데 보고자 했을까? 생명의 근원이자, 중심인 심장이 활동하는 게 마음이다. 살아있는 세상과 살아있는 나를 이어주는 게 마음이다. 마음이 있어 살아 있는 세상 속에 내가 있음을 느끼고, 내 속에 세상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세상 속에 내가 있는 것인가? 아니면 내 속에 세상이 있는 것인가? 마음이 있어 이런 생각이 드는 것이다. 둘 모두 가능한 데 바로 마음 덕이다. 마음은 세상과 나를 잇는 연결망이다. 그 연결 속에 벌어지는 게 뜻이요, 행동이다. 선이요, 악이다. 

 

 

 

​“无善无恶心之体, 有善有恶意之动。
wú shàn wú è xīn zhī tǐ, yǒu shàn yǒu è yì zhī dòng 。” 

 

 

 

마음의 형체엔 선도 악도 없으니,
뜻이 움직여 선과 악이 생긴 게다. 

 

 

마음의 학문, 심학心学의 창시자 왕양명의 말이다. 그는 이에 사람은 스스로 마음을 알고, 다스려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 이루는 게 다음의 경지다. 좋은 앎을 깨우치고, 격물을 하게 되는 것이다.

 

 

​“知善知恶是良知, 为善去恶是格物。
zhī shàn zhī è shì liáng zhī, wéi shàn qù è shì gé wù 。” 

 

 

 

좋은 앎이란 선과 악을 아는 것이고, 
격물이란 악을 버리고 선을 취하는 것이다.

 

 

 

글=청로(清露)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