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추억의 축구 성지, 구덕운동장

       부산 시민들에게 아시아드주경기장은 자랑이다.  이유는 무엇보다 아시아드 주경기장이 국내 최초로 국제육상경기연맹(IAAF)규정에 의한 1종 공인 경기장으로 지정됐다는 데 있다. 아쉽게도 축구 때문이 아니라는 말이다.

아시아드 주경기장은 시간당 10∼15㎜의 비가 내리거나 폭우시도 12∼24시간이 경과하면 경기가 가능하도록 다층구조지반 방식으로 잔디를 심고 경기장 조명도 2천룩스(lx)로 설계되어 경기력 향상은 물론 장차 고화질 TV중계방송에도 문제가 없다. , 국내 최대의 (32.54×9.8m) 전광판을 설치하여 부산을 대표하는 건축물이다.

 

Ⓒ Wikimedia 

 

       이에 비해 구덕 경기장은 초라하다고  정도로 작고 오래됐다. 좋게 말해 역사가 유구하다. 1920년 6월 조그만 동물원을 곁에 둔 넓은 빈터에 조성됐다. 주소는 부산 광역시 망양로 57이다. 빈터에 주민들이 자주 모이자, 마을 체육대회 장소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1928년 9월 부산공설운동장이 정식으로 건립됐다. 1982년 6월 구덕운동장으로 개칭되었다. 이에 역사적 사건들과 인연이 깊다. 1940년 11월 동래고보, 부산상고 학생들이 민족의거 사건 (노다이 사건)을 이곳에서 일으켰고, 6.25동란  미군수송 부대가 주둔하여 서울 수복에  역할을 했다.

 

 

       1985년 사직운동장이 건립되기 전까지 부산에서 유일한 시민종합 운동장이었다. 살펴본 그대로 작다. 부산 아이파크 입장에서 홈구장을 옮기기에 경제적 손실이 컸다. 그래서 부산시와 협의 끝에 축구 발전을 위한 시의 지원을 이끌어낸다. 구단에 따르면 부산시는 동부지역을 야구, 농구 중심으로, 서부지역을 축구 중심으로 체육문화를 정착시키 했다. 또 구덕구장의 실내 리모델링을 통해 구단과 축구팬들이 보다 나아진 환경에서 경기를 펼치고 관람하도록 지원키로 했다. 이에 2017년 7월부터 구덕야구장, 구덕실내체육관을 철거하고 시민생활체육공원 조성을 위하여 공사 진행 중이며2018 년 6월 완공할 예정이다.

 

기자 청로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