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편한 고른 숨을 얻기 위해 … 평(平) 2

평은 앞 숨과 뒤 숨이 달라지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도 숨이 고르면 평한 것이다. 천리를 달리면서도 숨이 고르면 평온한 것이다. 숨을 평온하게 쉬면 절로 마음과 몸도 평온해지는 것이다. 몸의 평온은 체력이 필요하고, 마음의 평온은 정력이 필요하다.”  

 

 


금문에서 출현한 평자는 일찌감치 여러 뜻으로 두루 쓰였다. 
한자의 고문에서 쓰임을 정리한 '고대한어사전'(상무인서관 1998)에 따르면 평 자는 무려 10가지의 뜻의 쓰임이 나타난다.
우선 가장 초보적인 땅이 평평하다는 뜻이다. 맹자에 "然后人得平土而居之"(그 뒷사람이 평지를 찾아 거주하기 시작했다)라는 문장이 나온다. 
형용 용법 이외 동사로 쓰이기도 했는데, '~을 평평하게 하다'라는 타동사와 '마음의 안정을 찾다'라는 자동사 둘 모두의 쓰였다. 타동사는 실제 땅 등을 고르게 한다는 뜻에서 반란을 진압하다, 안정되게 하다는 뜻으로 발전해 쓰인다. 
공평하다는 뜻도 이미 춘추 전국시대의 문서에서 보인다. 진나라 변법을 주도했던 상앙의 사상을 집대성한 상군서商君书에는 "法平则吏无奸"(법이 공평해야 관리가 사악해지지 않는다.)이라는 말이 나온다. 동양의 법철학을 집대성한 말이다. 
이 말은 이어 법가에 전승됐고, 그 뒤 법가의 여러 철학가들이 남긴 문장에서 평 자는 대체로 공평하다 균일하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오늘날 많은 이들이 평 자의 자형을 보고 법원의 저울을 상상하게 되는 것도 일리가 있다 싶다. 사실 공평이라는 게 저울에 정확하게 나눠준다는 의미 아닌가?
글쎄 정말 그럴까? 그게 정말 공평한 것일까? 재미있는 것은 위에 설명한 평 자를 본래의 뜻, "숨을 편하게 쉬는"이라는 뜻으로 바꿔보면 정말 모든 게 새롭게 다가온다는 것이다. 맹자의 말도 "그 뒤 사람들이 쉼을 편히 쉴 수 있는 땅을 찾아 거주하기 시작했다."로 바꾸면 평평한 땅이라는 것보다 의미가 더 정밀해진다. 가파른 땅이 아니어서 숨이 덜 찬 곳이 평평한 곳이기 때문이다.
또 상왕의 말도 "법이라는 게 사람을 숨쉬기 편하게 해줘야 하는 것이고, 그러면 관리가 사악해지지 않는다."로 바뀐다. 
어떤가? 저울로 잰 공평보다 훨씬 더 실제로 더 공평해지지 않는가? 
사람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은 그 사람이 숨을 편하게 쉬게 해주는 것이다. 물질로 아무리 풍족하게 해줘도 숨을 못 쉬게 하면 괴롭히는 것이다. 아무리 가난해도 숨이 편안하면 마음이 편해지고, 그게 행복한 것이다.
진정한 평안, 평화가 여기에 있지 않는가.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中취안저우,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객 유치 위한 투 트랙 전략 추진
중국 남동부 푸젠성에 위치한 취안저우(泉州)는 지난 202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역사도시다. 송나라, 원나라 시대 중국의 세계 해양무역 중심지였다. 푸젠성은 타이완을 마주 보고 있는 대륙 지역으로 중국에서 해양 산업이 가장 발전한 곳이기도 하다. 취안저우는 이 푸젠성에서 독특한 문화유산을 보유해 푸젠성 3대 도시 중 하나로 꼽힌다. 2일 푸젠성 문화유산국에 따르면 취안저우는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산업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더욱 적극적인 문화유산 보호와 복원을 위해 관련 법과 규정을 제정하고 전문가를 채용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 문화유산 보호를 강화하는 동시에 관광산업 증대를 위해 중국내는 물론 해외 관광객 대상의 다양한 홍보 정책을 추진했다. 푸젠성 최초의 도시 커뮤니케이션 센터를 설립하여 언론 매체와 SNS 플랫폼에서 관광 상품을 홍보하는 등 관광 활성화를 위해 온오프라인 관광 마케팅을 펼쳤다. 특히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과 함께 생활하고 교류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유적지의 대부분을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급증하는 관광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