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숨이 고른 게 평안한 것이다. 평(平) 1

무엇이 평온平穩인가? 어떻게 해야 우리는 마음이 평온한 지 아는가? 무엇이 어떤지 알아야 얻을 것 아닌가?”   

 

 

많은 사람들이 추구하는 게 평온의 삶이다. 그런데 정작 평온이 무엇인지 아는 이는 드물다. 무엇을, 어떤 상태를 우리는 평온이라 하는가? 최소한 그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얻을 것이 아닌가? 
물론 우리는 평온이 무엇인지 막연히는 안다. 이게 말로 설명하기 힘들 뿐이다. 그냥 가만히 누워 있으면 평온하다. 저녁 번잡한 일자리를 떠나 가족과 함께 있는 순간 평온하다. 아, 아주 가끔은 그때부터 평온이 깨지는 가족이 있을 수 있다. 카페에 한가로이 커피 한 잔의 여유를 부릴 때 우리는 평온하다.
'평온'이라는 감정은 공감, 전파 능력이 강하다. 내가 평온하면, 주변 사람도 평온해지고, 평온한 사람을 보면 나 역시 평온해진다. 
그런데 이렇게 말고, 정말 평온이란 무엇인지, 한마디로 말할 수는 없는가? 역시 정확히 부를 수 있어야 얻기도 쉬울 것 아닌가? 
아니면 평온이라는 게 본래 그리 어려운가? 그리 어려워 얻기가 힘든 것인가?
언제나 이야기지만 이 순간 도움이 되는 게 한자다. 한자를 만든 선인들의 지혜가 큰 도움이 된다. 
가장 글자의 원형에 가까운 갑골문자에서 평(平) 자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금문에서 자형이 처음 보인다. 
금문은 춘추전국 시대 왕성히 쓰였다. 각국의 글씨 모양이 조금씩 차이가 있었지만, 글자를 조성하는 방법에는 한자의 공통된 특징을 보인다. 참고로 진나라의 글씨는 변방의 글자였다. 가장 모양이 달랐다. 진나라가 천하를 통일하면서 변방의 글자가 중앙의 글로 환골탈태한 것이다. 
금문은 이집트 상형문자처럼 의례 용도가 강했다. 지금도 금문이 많이 남아 있는 이유다. 곱게 보관하는 제례 용기에 글을 써 남겼기 때문이다. 아니 쓰는 게 아니라 그렸다. 한자 쓰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했다는 의미다.
금문이 불편해서 나온 게 예서다. 진나라의 감옥에서 저급 관료들이 업무용으로 만들어 낸 것이다. 한나라에 들어서 예서가 금문을 밀어내고 중앙 글자의 자리를 차지한다. 예서(隸書)는 지금 한자의 모태다. 누구의 말처럼, 글자로만 보면, 실용이 중심이 되면서 예(禮)가 사라진 것이다. 
어쨌든 금문까지만 해도 한자 본래 의미를 중시했던 갑골문의 정신이 올곧이 살아있다. 한자 조어법을 이해하고 상세히 들여다보면 그 본래의 뜻이 이해가 된다. 금문의 평자는 위에 날일(一) 자락 있고, 그 아래 점이 셋, 다시 횡 선 아래 꼬리를 내린 듯한 묘한 형태의 부호가 있다. 

 

 

묘한 형태의 부호는 구름 운(雲)의 초기 모양인 운(云) 자와 같다. 운은 기운이 오르는 모양이다. 학자들은 평 자는 기운이 고르게 오르는 모양이라고 분석한다. 즉 숨이 고른 거다. 숨이 고르다는 게 무엇인가?
말 그대로지만 좀 더 분명하게 알려면 그렇지 않은 것을 보면 된다. 금문에서 숨이 고르지 않은 글자가 호(乎) 자다. 위의 선의 고르지 않고 삐뚤다. 숨이 달라지는 것이 고르지 않은 것이다. 첫 숨 뒤 이어지는 숨이 크기가 다른 것이다. 언제 달라지는가? 숨은 뛰고 나면 달라진다. 흥분하면 달라진다. 긴장을 하면 달라진다. 소리치면 달라진다.
다시 평이다. 평은 앞 숨과 뒤 숨이 달라지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도 숨이 고르면 평한 것이다. 천리를 달리면서도 숨이 고르면 평온한 것이다. 마음의 평온을 얻는데 명상을 중시하고, 명상을 하는데 호흡법을 중시하는 이유가 이것이다. 숨을 평온하게 쉬면 절로 마음과 몸도 평온해지는 것이다. 
몸의 평온은 체력이 필요하고, 마음의 평온은 정력이 필요하다. 체력이 떨어지면 움직임을 덜해야 평온을 얻고, 정력이 떨어지면 번잡을 피해야 평온을 얻는다. 얻는 게 있으면 잃는 게 있는 게 세상의 이치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