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너희가 바른 게 뭔지 알아? … 옳은 것은 관철시킬 수 있어야 정말 옳은 것이다. 正 1

바르다는 것은 무엇일까? 바른 방향이란 무엇일까?  역사 이래 수많은 이들의 고민거리였다. 수많은 철학자, 현자들이 고민을 했고 답을 내놓았다. 한자를 만든 선인들이 역시 마찬가지다. 언제나 그렇듯 한자를 만든 선인들의 답은 참으로 인간적이고 짧고 명료하다.  

 

 


 

갑골문자 바를 정(正) 자에 그 고민들이 담겨 있다. 갑골문자의 정 자는 발을 강조해 앞으로, 정면으로 한발 내딛는 모습을 추상화한 것이다. 정면이 어딘지를 보여주기 위해서 그 발아래 입 구(口) 자 모양이 있다. 중국 학자들은 이 입 구를 마을이라고 풀이한다. 어쨌든 앞으로 한 발을 내딛는 모양이 사람의 앞모습, 정면인 것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 방법 외 몇 개 선으로 정면이라는 의미를 추상화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 그래서 정 자는 수천 년을 살아남았다. 

 

 


앞으로 보는 게 바른 것이다. 가장 본능적인 이야기다. "똑바로 보고 이야기 말해 봐!" 어려서 잘못을 한 뒤 변명을 하면 부모님은 자주 이렇게 꾸짖으셨다. 기자가 돼 출입했던 경찰서 조사실에서 이 말을 자주 들었다. 경찰들은 범죄 혐의자에게 고성으로 "똑바로 쳐다봐!"라고 소리쳤다. 
똑바로 본다는 것. 그것은 진실을 말하는 자세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 (仰天俯地無愧)의 태도다. 
바를 정 자는 이런 뜻을 담고 있다.  중국 학자들은 발 위의 입 구(口) 자 모양은 나라, 또는 한마을이라고 보고, 정(正)자가 한마을을 정벌하다는 의미라고 본다. 즉 전쟁을 하러 가는 모습이라는 것이다. 그러보고 보니 옛 날이나 지금이나 전쟁은 정의와 정의 간의 싸움이었다. 그래 정 자에는 옳다는 뜻이 있다. 본래 서로 옳다고 우기다 보면 싸움이 나게 마련이다. 
왕의 이빨을 뽑는 사실까지 제사를 지내 신께 물었던 게 한자를 만들었던 이들의 습성이었다. 전쟁이란 큰일은 당연히 제사를 지내 신께 물었다. 공격을 하는 쪽이나 수비를 해야 하는 쪽이나 각자의 신이 모두 “네가 옳으니 이길 수 있다"라는 신탁을 내렸을 것이다.   
정 자는 전쟁에서 한발 한발 적의 마을에 다가가는 보병을 형상화 한 것이다. 전쟁을 치른다는 것은 내 옳은 것으로 적이 옳다고 우기는 것을 고친다는 의미도 있다. 또 점령을 했으니 당연히 세금을 걷어야 한다. 정 자에는 세금을 걷는다는 의미도 담겼다. 
전쟁에서 이긴 뒤 자신의 승리를 예언해준 신께 감사드리러 가는 승자의 예식을 스냅사진으로 찍은 모습이 바로 길 도(道) 자다. 
옳다는 것은 그렇게 관철시키는 것이다. 그럴 능력이 있어야 옳은 것이다. 그게 인간적 의미의 정의다. 인간의 언어 한자의 변천 속에 바를 정은 적지 않은 곳에서 그런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글=청로(清露)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