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5월 국내 관광객 3억1400만 명 기록

 

‘3억 1,400만 명’

지난 5월 중국 노동절 연휴기간 중국 국내 여행객 수다. 전년동기 대비 6%이상 늘어난 수치다. 관광 소비 총액 역시 8% 크게 늘었다.

중국의 5월 소비가 노동절 연휴 소비 증가에 따라 크게 늘었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이 같은 내용의 중국 5월 소비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노동절 연휴 기간 동안 국내 여행객 수는 3억 1,4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 이에 같은 기간 관광 소비 총액은 1,802억 6,900만 위안(약 34조 5,882억  원)으로 8% 증가했다.

중국 상무부가 중점적으로 모니터링한 전국 50개 보행거리 및 상권의 유동 인구는 전년 대비 6.4% 증가했고, 관련 플랫폼이 모니터링한 36개 대중도시 쇼핑센터의 유동 인구는 6.5% 증가했다.

특히 아동절까지 겹친 단오절 연휴에는 민속 여행과 가족 동반 여행이 큰 인기를 끌었다. 중국 국내 여행객 수는 1억 1,9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다. 관광 소비 총액은 427억 3,000만 위안(약 8조 1,986억 원)으로 5.9% 늘었다.

단오절 기간 전국 영화 박스오피스는 약 4억 6,000만 위안(약 882억 6,020만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0% 증가했다.

쑤윈한은 “올해 5월 일정 규모 이상 스포츠 및 오락 용품 소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28.3% 증가해, 연초 이후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갔다”며 “소비 구조 업그레이드형 상품이 5월 소비를 뒷받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실제 올해 1~5월 서비스 소매액은 전년 대비 5.2% 증가했으며, 상품 소매액의 동기 증가율보다 0.1%p 높았다.

올해 중국은 출국 환급 정책을 추가로 개선하여 외국인 관광객의 중국 내 소비를 더욱 편리하게 했다. 4월 26일, 상무부는 관련 부처와 함께 『출국 환급 정책 최적화 및 입국 소비 확대에 관한 통지』를 발표했고, 각 지방정부는 적극적으로 상점 확대, 상품 다양화, 서비스 개선 등 혁신 조치를 도입해 외국인 쇼핑 경험을 지속적으로 높였다.

베이징은 시내 전역의 출국 환급 가맹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즉시 환급’ 집중 환급 거점을 3곳 설치했고, 상하이는 난징로 상권에 전국 최초로 출국 환급 셀프 발급기를 도입했으며, 선전은 세관 봉인 해체 없는 ‘1청구서 1포장’ 제도를 선도적으로 시행했다.국가세무총국에 따르면, 4월 27일부터 5월 26일까지 출국 환급 정책이 최적화된 첫 달 동안, 환급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했고, 환급 가맹점 매출액은 56% 늘었다. 전국의 출국 환급 가맹점 수는 5,196곳으로, 이는 2024년 말 대비 1.4배 증가한 수치다.

올해 1~5월 온라인 소매액은 전년 대비 8.5% 증가했고, 이 중 실물 상품 온라인 소매액은 6.3% 증가해 전체 소매총액의 24.5%를 차지했다. 관리신은 “이커머스 쇼핑 축제가 조기 예열되며 5월 온라인 소비 증가를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또 올해 1~5월 일정 규모 이상 소매업체의 오프라인 점포 소매액은 전년 대비 4.5%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14월보다 0.1%p 상승했다.그중 창고형 멤버십 매장은 30% 이상 성장했고, 편의점, 전문매장, 대형마트 소매액은 각각 8.5%, 6.3%, 5.7% 증가했다.

쑤윈한은 “5월 소비의 호조세는 소비 구조 업그레이드를 통한 내생 동력 강화와 함께, 소비재 교체·출국 환급 정책 등의 효과적인 실행에서 비롯되었다”고 평가했다.이어 “앞으로는 소비시장의 신구 동력을 함께 활용해 소비 잠재력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내고, 경제의 고품질 발전을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