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2025년에도 5% 성장 목표 유지키로...도시 실업률도 5.5%로 관리키로

 

중국이 2025년 약 5% 성장을 목표로 세웠다. 도시 실업률도 약 5.5%로 묶어 유지키로 했다.

또 신규 도시 일자리 1200만 개를 만들기로 했다.

 

지난 5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연례회의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개막했다. 리창 총리는 국무원을 대표해 정부 업무 보고를 진행하며 2024년 주요 성과를 정리하고 2025년 경제 및 사회 발전 목표를 제시했다.

 

리창 총리가 발표한 정부 업무 보고에 따르면 올해 중국 정부는 ▲국내총생산(GDP) 약 5% 성장 ▲도시 실업률 약 5.5% 유지 ▲신규 도시 일자리 1200만 개 창출 ▲소비자 물가 상승률 약 2% ▲주민 소득과 경제의 동반 성장 ▲곡물 생산량 7000억kg 유지 ▲GDP 단위당 에너지 소비 약 3% 감소 등의 목표를 설정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올해 성장률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여러 경제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분석했다. 첫째 고용 안정과 경제 리스크 방지를 위해 일정 수준의 성장세 유지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소비와 관광 산업이 회복세를 보이며 경제 성장의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 등이 주요 배경으로 꼽혔다.

 

보고서는 또한 고품질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로 ▲현대적 산업 체계 구축 ▲내수 확대 ▲녹색 저탄소 전환 등을 제시했다. 감세 및 비용 절감 조치를 확대하고 민생 보장 강화 등을 통해 시장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계획도 담겼다.

 

중국 정부는 ‘혁신’과 ‘개혁’을 핵심 정책 기조로 내세웠다. 보고서에 따르면 거시경제 정책부터 국방 건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통해 경제 현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디지털 경제와 녹색 기술 개발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강조됐으며 제조업 업그레이드와 첨단 산업 육성을 위해 지방정부 특별 채권 4조 4000억 위안(약 880조원)을 배정할 방침이다.

 

또한 청년 고용과 주택 보장, 의료·교육 분야의 균형 발전을 민생 정책의 핵심 과제로 설정하고, 부동산 및 지방정부 부채 문제에 대한 리스크 관리도 강화하기로 했다.

 

중국 정부는 이번 보고서에서 높은 수준의 대외 개방을 지속할 것임을 밝혔다. 보고서는 중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하며 ‘대만 독립’ 움직임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편 중국 중앙방송총국(CMG)은 “중국의 경제 성장 목표는 국내 경제 안정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긍정적인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