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반쪽 초상화: 반은 하나'가 아니다.

 

얼굴 초상화를 그리면서 반만 그린다. 그럼 초상화라 할 수 있을까? 얼굴 반만 보이는 초상화는 초상화라 할 수 없다.

그렇다. 하나의 기준이다. 반쪽으로는 아무리 해도 하나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렇다. 때론 반쪽은 누가 뭐래도 하나는 아니다.

물론 조금 모자랄 수도 있다. 실은 세상의 일이라는 게 그렇다. 완벽한 하나란 없다. 대부분 조금씩 모자라다.

하지만 그렇다고 반은 아니다. 반이 모자란 것은 절대 하나가 될 수 없다.

아무리 하나인척해도 하나는 아닌 것이다.

 

옛날 중국 시골마을에 자린고비 영감이 살았다. 하루는 초상화를 그리고 싶어서 화가를 청했다. 하지만 초상화를 그리는 돈이 아까웠다.

 

그래서 화가에게 말했다.

“화가 선생, 보통 초상화 하나를 그리려면 얼마면 되요?” 화가가 말했다. “그게 잘 그리는 정도에 달렸지요. 상급이면 금화 10량, 중급이면 금화 5량, 하급이면 은화 10량이면 됩니다.”

말을 들은 자리고비 영감이 놀라 생각했다. ‘아니 무슨 초상화가 그리 비싸냐.’

그리고 말했다.

“음. 내가 실은 은화 5량밖에 없어서...그래서 말이요.” 그리고 잠시 말을 멈췄다.

말을 듣던 화가가 자리고비 영감의 뜻을 알아채고 말을 잘랐다. “아, 무슨 말씀이신지, 알 듯합니다. 이게 은화 5량으로도 그려드릴 수 있지요. 걱정마십시오.”

 

기쁜 자린고비가 웃으며 돈을 꺼냈다. “아이고 화가 양반 그럼 잘 부탁하오.”

그리고 한 달여의 시간이 지났다. 그림이 완성됐다고 화가가 자린고비를 불렀다. 자린고비가 도착하자, 화가가 천으로 덮힌 그림을 가져왔다.

화가가 자린고비 영감에게 말했다. “아 많이 기다리셨습니다. 그림은 잘 됐습니다. 화풍이나 그림의 질은 중급 이상입니다.”

그리고 그림을 덮었던 천을 천천히 벗겨냈다. 자리고비가 기대찬 얼굴로 기다렸다. 마침내 그림이 모습을 드러냈다.

 

“아니 이게 뭐요.” 자린고비가 화가에 놀라며 물었다. 드러난 그림에서 자리고비 영감을 등을 보이며 얼굴을 뒤로 돌려 보는 모습이었다. 반쪽 얼굴에 입었던 옷, 얼굴 윤곽 등으로 겨우 자린고비 영감인 줄 알아 볼 정도였다.

 

화가가 말했다. “그림은 좋지요. 돈만큼만 그려 드린 것입니다. 하하”

자린고비 영감은 그제야 깨달았다. ‘아 그래 돈은 본래 돈값을 하는거지.’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