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속으려 해서 속는 것이다.

악덕 기업주에 속는 건 그의 말 때문만이 아니다. 그가 가진 재산, 휘황 때문이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좀처럼 이해가 되지 않고 희한한 게 너무 뻔한 일에 너무 많은 사람들이 속는다는 것이다. 마치 속기로 마음먹은 사람들처럼 엉뚱한 사람의 말을 그대로 듣고, 그대로 따른다.

사실 그 말이 맞다. 속기로 마음먹은 탓이다. 모두가 나쁜 사람이라고 욕을 해도 믿고 따르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그가 가진 재산, 배경의 휘황함에 취한 탓이다.

 

옛날 악덕 자린고비가 있었다. 먼 길을 가는 준비를 하며 잔뜩 배부르게 식사를 했다. 남은 음식을 노비에게 주는 데 반만 그 것도 아까워 반만 먹도록 했다.

노비가 울며 사정했다. “아니 먼 길을 가는 데 배가 고프면 어떻게 마차를 끌겠습니까. 좀만 더 먹게 해주세요.”

 

악덕 자린고비가 나무 쇄기와 밧줄을 주면서 말했다. “아 걱정 말게. 이 두 가지만 있으면 배고플 일이 없네.”

결국 그렇게 노비는 고픈 배를 안고 길을 나서야 했다. 악덕 자린고비가 말했다. “그런데 자네 길을 가다 배고프면 ‘배고프다’하지 말고, ‘배가 아프다’하게.”

노비가 “왜 그러시냐? 물었다. 자린고비가 말하길: “아 다른 게 아니라, 그래도 내가 체면이란 게 있는데, 노비를 굶긴다고 남들이 생각하게 만들 수는 없지 않은가.” 노비가 고개를 끄덕이며 길을 재촉했다.

 

한참을 걷던 노비가 마침내 말했다. “아 제가 배가 좀 아픕니다.”

그러자 자린고비가 말했다. “아 그럼 일단 이 줄로 배를 꽉 묶어보세. 배가 졸리면 아픈 게 덜할 것이니.” 배를 밧줄로 묶은 노비가 다시 길을 나섰다.

하지만 졸린 배도 다시 고프기 시작했다. “아 배가 다시 아픕니다.”

자린고비는 이번에 나무 쇄기를 꺼내 말했다. “이 쇄기를 넣고 다시 밧줄을 묶어 보게.” 너무 배가 없어 쇄기로 부족하자, 자린고비가 길가의 돌덩이를 들고 같이 묶어줘야 했다.

 

그렇게 길을 가던 노비가 도저히 배고픔을 참지 못하고 말했다. “아 주인어른, 배가 너무 아프네요.”

그러자 이번엔 자린고비가 화를 냈다. 묶인 줄을 풀더니 목소리를 높여 말했다.

“아니, 이게 무슨 짓인가. 매일 처먹기만 하고 결국 일은 못하고. 당장 나가게. 남은 길은 나 혼자 가지. 그리고 우리 집이 이렇게 부자인데, 내가 노비 하나 다시 못 구할 듯 싶은가?”

 

노비는 그렇게 해고를 당했다. 황당해 했지만 노비 사정을 알 길이 없는 길 가는 사람들은 오히려 노비를 욕하고 있었다.

 

당하기만 노비가 불쌍하지만, 욕을 먹어도 어쩔 수 없는 이유는 단 한가지다. 부자의 자린고비의 가진 것들에 현혹됐다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화려한 것은 독을 품는다. 바로 자연의 법칙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