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스마트폰 시장 올 3분기말 현재 전년동기 대비 5% 성장

중국 스마트폰 시장 규모가 다시 5% 늘었다. 중국 시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이다.

생성형 AI와 신흥 경제체의 강력한 수요 등 요인에 의한 글로벌 소비 전자 산업의 성장과 궤를 같이 하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최근, 글로벌 독립 분석 기관인 Canalys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하며, 4분기 연속 성장을 기록했다. 이는 주로 신흥 경제체의 강력한 수요와 북미, 중국, 유럽 시장의 교체 주기가 초기 단계에 있음에 기인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삼성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 세계의 18%를 차지하며, 근소한 차이로 애플을 제치고 시장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애플은 시장 점유율 18%로 2위를 기록했다. 샤오미는 14%의 시장 점유율로 3대 스마트폰 제조업체의 위치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인도와 라틴 아메리카 시장에서의 강력한 성장에 힘입어 OPPO는 9%의 시장 점유율로 올해 처음으로 4위에 복귀했으며, vivo는 두 자릿수 성장률과 9%의 시장 점유율로 5위 안에 들었다.

Canalys 분석가인 루나르 뵈르호브데는 올해 3분기 애플 출하량이 역대 동기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으며, 애플은 그 어느 때보다도 글로벌 출하량 1위 자리에 근접했다고 언급했다. 이는 주로 iPhone 15 시리즈와 애플 구형 모델의 지속적인 강력한 수요에 기인한다.

분석가는 시장 수요가 고급 장치로 전환되고 있으며, 팬데믹 기간에 구매한 장치들이 교체 주기에 들어서면서 애플이 큰 수익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북미와 유럽 등 지역에서의 성장이 두드러진다. 또한, 애플의 제품 다양화 전략이 납기 시간을 단축하는 데 기여했다.

“초기 반응은 다소 미온적이었지만, Apple Intelligence가 새로운 시장으로 확장되고 더 많은 언어를 지원하게 되면, iPhone 16은 2024년에도 애플의 강력한 성장을 지속시키고 그 성장을 2025년 상반기까지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Canalys 분석가는 전했다.

또 다른 Canalys 분석가인 주러쉬엔은 증권 타임즈 e회사 기자에게, 상위 5대 제조업체 간의 격차가 줄어들며 경쟁 구도가 더욱 치열해졌다고 밝혔다. 제조업체들은 안정적인 성장세와 신중한 낙관주의로 휴가철 쇼핑 시즌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이 11월 11일과 블랙 프라이데이 등 주요 프로모션 행사를 통해 장치 업그레이드를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주러쉬엔은 또한, 비록 시장 여건이 개선되고 있지만 수요 회복의 추세는 여전히 불안정하며, 제조업체들이 글로벌적인 도전과 규제 장애에 직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EU의 생태 디자인 지침과 같은 규제와 더불어,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 적정 재고 수준 유지, 판매 및 마케팅 투자 최적화가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데 있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IDC 데이터에 따르면, 2016년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은 4.67억 대에 달했으나 그 이후 몇 년간 업계는 침체를 겪었다. 2023년에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이 2.71억 대로 감소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글로벌 및 중국 시장은 바닥을 찍고 반등했으며, 2분기에는 중국 시장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8.9%, 글로벌 시장은 6.5% 증가했다.

소비 전자 ODM 기업인 Longqi Technology는 최근 기관 조사에서 “전체 스마트폰 시장은 느린 회복세에 있으며, 앞으로의 시장 발전 전망에 대해 낙관적”이라고 밝혔다.

최근 Lens Technology는 투자자들에게 자사가 국내외 소비 전자 유명 브랜드에 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난 몇 년간 심층적인 수직 통합을 통해 제품 카테고리와 점유율 확대에서 단계적인 성과를 거두었고, 고객과 협력하여 대규모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생산 역량 배치를 개선했다고 전했다. 또한, "미래에는 OEM과 ODM 사업을 대대적으로 발전시키고, 고객에게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외관 부품, 구조 부품 및 모듈 시장 점유율을 공고히 하고 새로운 성장 주기에 대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비 전자 산업의 지속적인 호황은 산업 체인의 기업 실적을 직접적으로 증대시킬 것이며, 그 대표적인 사례가 Weir Semiconductor이다.

10월 9일 저녁, Weir Semiconductor는 자사의 올해 1~3분기 순이익이 22억 위안(약 4,209억 2,600만 원)에서 24억 위안(4,591억 9,200만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15.35%에서 569.64% 증가한 수치이다. Weir Semiconductor는 보고 기간 동안 시장 수요가 지속적으로 회복되었고, 하위 고객의 수요가 증가했으며, 자사의 고급 스마트폰 시장 제품 도입 및 자동차 시장의 자율주행 응용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침투와 함께 매출 및 총이익률이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