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상무부, 캘빈 클라인 조사 착수...미중 무역 갈등 심화징조?

중국 정부가 미국 패션 브랜드 타미 힐피거와 캘빈 클라인(CK)의 모기업인 CK(캘빈 클라인)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고 최근 밝혔다.

 

중국 신장 면화기업에 대해 차별 조치를 했다는 게 혐의다.

서방 관리들과 인권 운동가들의 비난에 대한 중국의 새로운 반발을 의미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 신장 위구르 지역에서는 중국 당국이 수용자들을 대상으로 강제 노동을 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같은 의혹에 대해 서방에서는 중국 면화기업에 생산 제품을 소비하지 말자는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캘빈 클라인의 경우도 이 같은 소비자의 지적에 따라 중국 면화 제품에 대한 구매를 하지 않고 있다.

미국은 우려를 이유로 2021년 이 지역 제품 수입을 금지했다.

 

중국 상무부는 이번 조사에 대해 관련 회사가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채 정상적인 시장 거래 원칙을 위반하고 신장 면화 및 기타 제품을 이유 없이 보이콧한 혐의를 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PVH 그룹은 위의 두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으며 중국과 미국 모두에서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회사는 의견 요청에 응답하지 않는 상태다.

 

회사는 과거 신장과 관련된 미국 법률을 포함해 사업을 운영하는 지역의 관련 법률을 준수한다고 밝혔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현재 회사는 30일 이내에 중국 당국에 대응해야 한다.

대응하지 않을 경우, 회사는 중국의 '신뢰할 수 없는 법인' 목록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향후 더 많은 처벌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단 중국 상무부 관리들은 이번 조사가 특정 중국 전기차 기술의 사용을 금지하려는 미국의 계획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부인했다.

미국의 대 중국 자동차 제재에 대한 보복 조치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의 선임 연구원인 컬렌 헨드릭스(Cullen Hendrix)는 외신과 인터뷰에서 “중국 당국이 왜 조사를 하게 됐는지 정확한 원인이 무엇인지 불분명하다”면서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회사의 명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서구의 우려에 굴복하는 것의 위험에 대해 전 세계 기업에 더 광범위한 경고를 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