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관광 이미지 훼손 방지를 위한 덤핑 여행 규제...중 네티즌 "아직도 가기는 하나?"

한국이 중국의 덤핑 관광에 대해 규제를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아직도 가냐" 반문하고 나섰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달 30일, 지난 1일부터 ‘중국 단체 관강객 유치 여행사 지침’을 개정하여 중국 관광객에게 덤핑 여행 상품을 제공하는 여행사를 행정처분에 처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관광 산업 질서를 교란하는 행위에 대한 처벌 기준을 세분화한 것이다.

이른바 ‘덤핑 여행’은 여행사가 초저가 여행 패키지로 관강객을 유치한 뒤 강제 쇼핑을 통해 수익을 올리는 현상을 말한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한국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 수는 이미 200만명을 넘었으며 이는 외국인 관광객 전체의 30%를 차지한다. 중국 관광객에게 더 나은 여행 추억을 선사하기 위해 한국 문체부는 덤핑 여행과 강제 쇼핑으로 인해 관강객에게 불만을 초래하지 않도록 할 예정이다. 이는 한국의 관광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이기도 하다.

한국 문체부는 제로 요금 여행, 강제 쇼핑, 통역 가이드에게 합당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행위를단속하고 관련 여행사를 처벌할 예정이다. 또한 매 분기마다 중국 단체 관광을 전문으로 하는 여행사를 대상으로 실적 조사를 실시하고 전자 관리 시스템에 제출된 보고서에 수익 구조를 불합리한 경우 이를 저가 여행으로 간주하여 해당 여행사에 행정 처벌을 내릴 계획이다.

또한 아시아투데이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관광객에게 더 나은 추억을 선물하고 관광 시장의 건전한 발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문체부는 관광 성수기 동안 중국에서 출발하는 여행 상품에 대한 현황 조사를 실시하고 관광 불만 신고 센터를 설치할 예정이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