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유통기한 지난 식재료 사용한 맥도날드, 中네티즌 “기본도 지키지 못하나?”

 

최근 중국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정저우의 한 맥도날드 지점에서 식품 유통기한 라벨을 임의로 변경하여 이미 유통기한이 지난 식재료를 사용하고 판매해 원가를 절감한 사례가 확인됐다. 

정저우는 중국 중부 지역 허베이의 성도로 소비성향이 강한 도시 가운데 하나다. 중국 네티즌들은 분노하며 맥도날드에게 실망했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은 다른 것은 몰라도 기업에 대응하는 단합에는 일사분란하기로 유명하다. 수많은 기업들이 중국 네티즌들의 협공에 놀라 무릎을 꿇었다. 

본래 중국에서 맥도날드는 퀄리티, 서비스, 클린 등의 경영철학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현지 매체 기자가 잠입하여 취재한 결과 맥도날드의 일부 지점은 이러한 경영철학과는 전혀 맞지 않는 행태를 보였다. 식품 유통기한을 임의로 바꾸기도 하고 이미 유통기한이 지난 식자재를 사용하고 있었다. 퀄리티와 클린은 논할 가치도 없었다. 

보도에 따르면 유통기한을 임의로 변경하는 등의 사건에 연루된 지점에서는 이미 이를 암묵적 규칙으로 여기고 당연한 일로 생각하고 있었다. 유통기한이 다 된 식자재가 있으면 기간을 임의로 변경하지 식자재를 폐기하지 않았다. 게다가 이는 말단 직원이 저지른 일이 아니라 담당 매니저와 심지어 지점장까지도 관여했다.

중국 식품안전법은생산일자, 유통기한, 보관기간을 허위로 기재하거나 보관기간이 지난 식품, 식품 첨가제를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아울러 식품 경영자는 식품 안전 기준에 따라 식품을 저장하고 정기적으로 재고 식품을 체크하여 변질되거나 보관기간이 지난 식품을 폐기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번에 문제가 된 맥도날드 지점은 관련 법에 저촉되는 행위를 한 혐의가 명백했다. 담당 매니저가 책임을 지고 법을 준수해야 하는데 오히려 직원들을 이끌고 불법행위를 저질렀으니 상응하는 책임을 져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

더보기
대규모 헬스장 부실 경영 막는 유일한 방법은? 중 상하이 사전 건전성 단속이 최고
대형 헬스장의 돌연한 폐업은 소비자들에게는 엄청난 피해다. 피해자도 다수여서 지역 사회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친다. 중국의 헬스장은 한국보다 규모가 더 큰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런데 중국 소비자들의 소득은 아직 한국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자연히 한국보다 그 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런 중국에서 상하이 시가 묘책을 내놓고 1년간 운용 성과를 올려 주목된다. 1년 전, <상하이시 체육 발전 조례>(이하 <조례>)가 공식 시행됐다. 그 중 여러 조항은 헬스업계가 어떻게 올바르게 선불 소비 영업 활동을 진행해야 하는지를 규정하고 있었다. 이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업 부서 외의 산업 주관 부서가 법규에서 선불 소비 영업 활동에 대한 감독 방안을 제시한 사례였다. 1년이 지난 후, 헬스업계의 선불 소비에 대한 감독 세칙이 발표되었으며, 이는 상하이 헬스업계의 선불 소비 금액과 사용 가능한 서비스 기한 및 횟수를 명확히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스포츠 산업의 선불 자금 ‘삼한’ 기준을 설정한 사례였다. 1월 13일, 상하이시 체육국은 여러 부서와 공동으로 <상하이시 체육 헬스업계 선불 소비 영업 활동 감독 실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