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자강하고 자족하라!" 그 대상은 '자신' 뿐이다.

강함은

남을 이겨야

비로소 안다.

 

권위 수준은  

내 말을 듣는 

남의 태도에

달려 있다.

 

그럼

총명함은 어찌 아는가?

남의 우둔함을

보고 비로서 안다.

 

남의 잘못이 보이고

고칠 수 있을 때

비로소

총명함을 안다.

 

그럼 다시 

부유함은 어찌 아는가?

마찬가지다.

 

남의 재산을 보고 안다.

남보다 많으면

스스로 부유하다 한다.

 

하지만 이 것들이 정답인가?

정말 아는 것인가?

 

정말 강한 것인가?

정말 총명한가? 

정말 부유한가? 

 

남을 통해야 비로서

아는 게

정말 아는 것인가?

 

맞을 수 있다. 

하지만 비교의 남이 바뀌면,

답도 바뀌는 게

정말 정답인 것인가?

 

그럼 왜?

내가 강한데,

나보다 더

강한 사람이 있고,

 

내가 총명한데

왜?

나보다 더 총명한 사람이 있는가.

 

또 그럼

왜 내가 부유한데

항상 나 보다

더 부유한 사람이 있가.

 

그 앞에

왜 나는

항상 모자라기만 한 것인가?

 

도대체 어찌해야,

진정 강함을 알고,

어찌해야,

진정 총명함을 알고,

어찌해야,

진정 뜻이 있음을 알까?

 

어찌해야,

내가

진정 부유함을 알까?

 

동방의 성인 노자는

‘내 자신에서 알라’ 했다.

 

남을 이기는 자는

그저 힘이 있는 자요,

진정한 강함은

스스로를 이기는 데 있다 했다.

 

남을 아는 이는 지혜롭지만,

진정한 현명함은

자신을 아는 데 있다 했다.

 

스스로 그칠 줄 알 때

비로서

그 뜻이 있음을 안다 했다.

 

감히 그칠 수 있음이

진정한 용기요,

진정한 용기를

갖춘 의지가 참된 것이라 했다.

 

내가 진정 부유하고

여유롭다는 것은

내 것을

나눌 수 있을 때

비로서 안다 했다.

 

나눌 수 있는 것은

자족(自足)하기 때문이다.

또 역으로

나눔만이 자족함을 아는

유일한 방법이다.

 

부유하지만 나누지 못하면

여유가 없는 것이고,

이 천하에 여유가 없는 것이

오래 가는 법은 없다 했다.

 

작은 나눔들,

스스로 작아지는 것들이 이 세상을 크게 하는 법이라 했다.

‘습명’(襲明)과 ‘미명’(微明)의 지혜다.

 

누구나 알지만

실천하지 못함이

그 어려움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